[한스경제 김지호]유동성 위기에 처한 대우조선해양이 현대상선으로부터 최대 10척에 달하는 초대형유조선(VLCC)을 수주하게 됐다.
 
이를 두고 대규모 정부 지원금이 투입된 곳이자 산업은행 자회사간 '셀프 계약'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대우조선 사채권자 채무조정을 앞둔 시점에 굳이 본 계약 전 건조의향서(LOI) 체결 사실을 알린 것에도 의혹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대우조선은 현대상선과 지난 7일 서울 다동 대우조선 사옥에서 VLCC에 대한 LOI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통상 선사는 발주 전 단계로 조선소와 투자의향서를 먼저 체결하며, 이후 큰 상황 변화가 있지 않은 이상 대부분 최종 계약으로 이어진다.
 
이번 건조의향서에는 5척을 우선 발주하고, 최대 5척을 추가로 발주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돼 있다. 본계약은 7월 말까지 체결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아직 협의 중으로,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 기준 VLCC의 척당 시세는 현재 8천만 달러인데 그보다는 높은 가격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10척 모두 본계약으로 이어지면 전체 계약 규모는 9,000억원대에 달한다.
 
이번 선박 발주는 정부가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성한 2조6,000억원 규모의 '선박 신조 프로그램'을 활용한 첫 사례다.
 
그러나 이번 계약을 두고 일각에서는 사실상 경쟁 입찰의 의미가 없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을 살리려는 의지가 강해 현대상선을 통해 측면 지원에 나설 거란 게 이미 예견됐다는 것이다. 경쟁입찰로 3사가 경쟁이 붙었는데 언제 P플랜에 돌입할지도 모르는 대우조선이 수주를 따낸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 대우조선 사채권자 채무조정을 앞둔 시점에 LOI 체결 사실을 알린 배경에도 의심의 눈길이 쏠린다. 선박 건조에 대한 본계약이 아닌 LOI 체결 사실을 공개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는 설명이다. 해양플랜트가 아닌 선박의 경우 LOI 후 본 계약이 체결된 뒤에야 실제 선박 건조가 시작된다. 대우조선은 10일에는 회사채와 기업어음(CP) 기관투자자 설명회가 예정됐으며 17~18일에는 사채권자 집회가 열린다.
 
이에 대해 현대상선은 공정한 심사를 거쳐 대우조선을 계약 상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현대상선은 "VLCC 신조 발주를 위해 지난해 말 전사협의체를 구성하고 선박 신조에 대한 수요, 시장동향, 투자 타당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왔다"며 "대우조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가 입찰제안서를 냈고 ▲ 프로젝트 이행 능력 ▲ 기술 역량 ▲ 가격 ▲ 운영비용 경쟁 요소 등 4가지 기준을 평가해 종합 점수가 높은 대우조선을 선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