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기후 위기 관련 항목 지난해 최고치 경신..."1.15도 넘었다"
윤순진 원장 "기후 위기, 개도국 타격 커...선진국도 예외 아냐"
"정부, 적극적 정책 필요...기업, 탈탄소화 기회로 삼아야"

 

윤순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3 제4회 1.5˚C HOW Forum 및 ESG Korea Awards에서 1.5˚C HOW와 글로벌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2023.05.24
윤순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3 제4회 1.5˚C HOW Forum 및 ESG Korea Awards에서 1.5˚C HOW와 글로벌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2023.05.24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지구 온도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C(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2015년 파리기후협정의 목표가 무색하게 향후 5~10년 사이 지구 온난화 임계점인 1.5도가 넘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제한하기 위해 정부·기업·시민 등의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윤순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원장은 24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3 1.5°C HOW Forum & Korea Awards'에 참석해 '1.5°C HOW와 글로벌 대응'이라는 주제로, 현재 지구의 상황을 알리며 각 계층에 기후 대응에 적극적인 모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15도 상승한 지구..."기후 난민, 전쟁 난민보다 많아"

기후 변화는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기록적인 홍수와 가뭄, 폭염 등 극단적인 모습이다. 

윤 원장은 "지금 기후 변화로 인해 많은 난민들이 발생하고 있다. 작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발발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지만 전쟁 난민보다 기후 난민이 53% 더 많다"고 설명했다. 재난에 따른 난민의 98%는 홍수·폭풍·가뭄 등 날씨와 관련됐다. 

특히 최근 발표한 세계기상기구(WMO) 보고서를 언급하면서 "대부분 항목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저치를 기록한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은 산업화 이전 온도(1850~1900년 평균)보다 1.15도 상승했다. 이는 3대 주요 온실가스 농도와도 관련 있다. 이산화탄소·메탄·아산화질소 등은 2021년 기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해양 열 함량, 전 지구 평균 해수면 역시 관측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했다. 

그 결과 빙하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1970년 이후 누적 두께 손실은 약 30m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협의체(IPCC)는 '1993~2019년 동안 전 세계 빙하의 6000기가톤 이상이 손실됐다'고 분석했다. 

윤 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기상 이변이 발생했다.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기후위기가 일어나고 있다"며 "경제적 손실, 특히 각 나라의 GDP에서 차지하는 영향을 보면 선진국은 0.1% 내에서 머무는 것이 많은 반면 어떤 개도국은 100%를 넘어선 손실을 경험하기도 했다. 가난한 국가의 타격이 크다. 그럼에도 선진국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윤 원장, 글로벌 대응방안으로 "메탄 감축·탄소중립 달성기간 단축 등 필요"

윤 원장은 글로벌 대응책으로 △메탄 발생량 감축 △탄소중립 달성기간 단축 △정책과 행동의 격차 해소 등을 내세웠다. 

메탄의 경우 대기 중에 머무는 기간은 9~12년으로 짧은 반면 지구 온난화 잠재력이 탄소의 80배 이상이다. 윤 원장은 "빠른 시간 내 메탄을 줄이지 않으면 사실상 1.5도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기업들은 이런 부분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탄소중립은 현재 136개국이 선언했다. 이들의 온실가스양은 전체 88%를 차지한다. 대부분 국가는 2050년을 목표로 하지만, 2030년이나 2045년인 국가도 있다고 설명했다. 

윤 원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빠르게 줄여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온실 기체는 대기중에 머무르면서 지속적으로 온실효과를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탄소중립 일환으로 현재 세계 각국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발표하고 있다. 영국은 2050년까지 1990년 대비 68% 감축을 외치며, 주요국 가운데 목표치가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50년 탄소중립'을 내세우면서 2018년 대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럼에도 윤 원장은 "문제는 정책과 행동 사이의 격차가 존재한다.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감축 목표 선언하고 정책과 시행이 필요하다. 1.5도씨 하우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기후위기 대응 방안으로 '적응'과 '완화' 행위를 꼽았다. 그는 "너무 춥거나 더울 경우, 냉난방을 많이 한다.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냉난방의 연료 소비를 늘린다면 기후 변화가 심각해진다"고 우려했다. 이를 위해 '완화'와 동시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원장은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 단열 강화 등의 방안을 예로 들었다. 

아울러 윤 원장은 "위험하다는 사실에만 초점을 맞춰 자포자기해선 안된다. 기후위기는 인간에 의해 발생한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의 열쇠도 인간에게 있다"며 "우리가 변화되지 않으면 안된다. 사회, 경제 활동의 변화는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책'과 '실천'이 중요하다며 에너지 전환을 강조했다. 윤 원장은 "의식주 3요소에 '이동'을 이야기한다. 화물과 여객으로 이동이 많아지면서 탄소 배출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에너지 전환은 탈화석 에너지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탈화석 에너지'를 위해선 원전 감소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윤 원장은 "원전과 재생에너지는 그리드 망과 관련해 함께 가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수요를 감축하지 않고 공급만으로 모든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 에너지 낭비에는 사치를 위한 활동이 너무 많다. 이를 줄이고 아껴서 수요를 감축하고, 필요한 에너지는 재생에너지로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발맞춰 유럽연합(EU)은 지난해 유의미한 결과를 남겼다. 풍력·태양광 발전량이 원전보다 많아진 해였다.우리나라도 지난 2011년부터 10년 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약 8%p 상승했다.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기후클럽' 가입을 선언했다. / 연합뉴스.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기후클럽' 가입을 선언했다. / 연합뉴스.

◆"저탄소 전환에 적극 나서야"...정부·기업·시민 역할 강조

글로벌 대응에 맞춰 정부와 시민은 어떤 역할을 해야할까?

윤 원장은 "글로벌에서는 정부, 시장, 시민의 대응으로 나눈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정부는 새로운 성장 전략이, 시민은 기후 시민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세계 주요국은 저탄소 전환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기후 위기 대응뿐만이 아니라 경제성장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 원장은 "미국과 EU 등은 탄소중립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도입하고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2050 탄소중립'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생산 및 소비 확대 △2035년까지 발전부문 탈탄소화 △탄소국경조정세 도입·발의 △도로·교량 등 사회기반시설의 기후 변화 재난 회복탄력성 강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재정 등을 하고 있다. 

EU의 경우 '그린 딜 정책'을 내세워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현재 '그린 딜 정책'의 법적 구속력 실현을 위해 유럽 기후법을 제정한 상태다. 이밖에도 △핏포55 정책 패캐지(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 순배출량 55% 감축) △배출권거래제 확대 및 탄소국경조정제(CBAM) △리파워EU(RePowerEU) △핵심원자재법 △탄소중립산업법 등을 시행하거나 도입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EU 회원국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RE100(재생에너지 100%)에 가입하고 있다. 덴마크· 오스트리아·에스토니아는 2030년까지 국가 재생에너지 전력 목표치를 100%로, 독일·포르투갈·아일랜드는 80%로 목표를 설정했다. 

또한 G7(주요 7개국) 정상들은 지난해 '기후클럽' 창립에 합의,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독일의 주도로 결성된 클럽은 △글로벌 공동의 탈탄소화 추진 △탈탄소 이행 선도국의 글로벌 산업 경쟁력 유지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달 중순에 열린 일본 히로시마 G7 정상회담에서 기후클럽 가입을 선언했다. 윤 원장은 "제대로 해낸다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경우 "다양한 압력 상황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윤 원장은 "깨어있는 소비자들은 친환경 소비를, ESG 경영을 요구하고 있다"며 "협력사들은 RE100 가입을 요구받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RE100에 408개사가 가입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는 27개사가 포함됐다. 

그럼에도 탈탄소화는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탈탄소 기술과 상품 개발로 인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장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윤 원장은 "여기에 기업이 관심을 더 갖고, 인류사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제는 더 이상 누구도 거부할 수 없는 뉴노멀(새로운 기준) 시대로 들어섰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시민들에겐 "에너지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원장은 "WMO가 10가지 기후 행동을 발표했다"며 그 가운데 생활 속 실천, 정치·경제 투표, 시민단체 가입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경제 투표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RE100 가입한 기업들을 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화폐로, 카드로 매일 투표할 수 있다. 기업에 투자하고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투표"라고 설명했다.

 

정라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