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 '4차 산업혁명과 헬스케어산업 발전 R&D 지원전략'

영국에서 이루어진 한 조사(Economist Intelligence Unit, Unit Flash poll, 2016)에 따르면 전 세계 비즈니스 리더 622명 중 45%가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수혜 분야로 헬스케어를 제시한 바 있다.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혁신적 기술 발전 등으로 전 세계 헬스케어시장은 정보통신기술(ICT), 자동차 산업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개인별 최적 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하여 헬스케어산업 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김국일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이에 맞추어 세계 각국 또한 성장기 헬스케어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국가 차원의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 확대하면서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미국은 ‘21세기 치유법’을 제정하고 ‘정밀의료 이니셔티브’를 발표하였으며, 중국 또한 ‘Health China 2030’을 수립ㆍ발표하면서 의료 빅데이터, 바이오의약품 등을 중점 지원영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우리 정부도 헬스케어산업을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로 인식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미래형 신산업 발굴ㆍ육성(제약, 바이오, 의료기기)’을 주요 국정과제로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위원회 내에 ‘헬스케어 특별위원회’를 지난해 말에 설치하고 분야별로 최고의 민간전문가를 중심으로 현장의 의견을 모아 헬스케어산업 육성을 위한 실천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전략적 육성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에 맞추어 보건복지부의 연구개발(R&D) 투자도 치매, 자살 예방, 정신건강 등 국민의 복지 증진과 보건의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수요 기반 투자 뿐 아니라, 헬스케어산업 육성을 위한 4차 산업혁명 혁신기술의 융·복합 연구를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정밀의료, 재생의료 등 미래 의료를 선도하고자 한다. 환자의 건강상태, 유전체 정보, 생활습관 등 개인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예방ㆍ진단ㆍ치료 등 정밀의료를 전략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유전체 자료 등을 기반으로 한 암 진단ㆍ치료법을 개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하여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수명을 2022년까지 76세로 늘리고자 한다. 또한, 세포치료·유전자치료·조직공학치료기술 등 재생의료에 대한 국가적 투자를 대폭 늘리고자 ‘제2기 재생의료 지원사업’을 기획하여 2017년 11월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여 2018년 2월 현재 본 예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현재 치료법이 없는 희귀ㆍ난치질환에 대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를 활성화하면서 관련된 안전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현재 국회에 관련된 법률 제정안 3건이 계류 중이며 관계 부처 뿐 아니라 현장의 전문가, 수요자 등과 협의하여 전 세계 재생의료를 선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둘째, 인공지능(AI) 기술의 의료현장 적용 및 실용화 성공사례를 창출하고자 한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인공지능 ‘왓슨’ 등 선진국의 사례를 추종하기보다 우리나라의 의료 환경을 감안하여 보다 잘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여 지원하고자 한다. 우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의료영상 분석 분야 등에 우수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의료영상과 음성 분석 분야에서 임상 진단(보조)용 인공지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셋 구축 등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실용화 임상연구를 2018년부터 지원한다.

셋째,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암센터 등의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ㆍ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 마련하고자 한다. 보건복지부는 공공적 목적으로의 활용, 시민 참여와 전문성에 기반한 논의구조 구축, 법령에 근거한 철저한 개인정보 보호 등의 3대 원칙에 입각하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2018년도에는 시범사업 형태로 보건의료 분야 정책연구, 의료정보보호 기술 연구, 보건의료기술 연구, 건강 관련 학술연구 등 4개 분야로 사용목적을 한정하고 이용자와 대상 데이터 등을 제한하여 시범적 R&D 연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계·의료계·전문가·시민사회 등이 참여하고 일반 국민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참여’와 ‘투명성’에 기반한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하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및 정책방향 전반을 논의할 계획이다.

그 밖에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ㆍ재창출 기반 조성, 수술·치료·재활 보조 로봇 기반 의료기기 등 스마트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 및 관련 제도 개선방안 등도 앞서 언급한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에서 마련하고 있다.

주요한 몇 가지 R&D 사업과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의 헬스케어산업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면서 현장의 전문가 뿐 아니라 시민사회, 국민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고, 관련된 부처와의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헬스케어산업을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