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서연]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비중이 전세 비중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주거 문제를 해결한 뒤에야 결혼을 하려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2일 통계청의 ‘KOSTAT 통계플러스’ 창간호에 실린 ‘결혼하면 어떤 집에 살고 왜 이사를 할까’ 이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주거점유 형태는 2015년 기준 자가 비중 37.7%, 전세 비중 35.1%로 자가가 전세를 앞질렀다.

5년 전인 2010년에는 신혼부부의 자가 비중이 32.3%, 전세 비중이 44.1%로 전세 비중이 훨씬 높았다.

과거에는 주거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일단 결혼한 이후 내 집을 마련했다면, 최근 세대는 주거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결혼을 지연시키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또, 지금 결혼하는 세대는 베이비붐(1955∼1963년생) 자녀세대여서 이전 세대보다 노후자금을 확보한 부모가 자녀가 결혼할 때 자녀세대의 주택마련을 지원하는 경향이 강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신혼부부 특별 분양 등과 같은 정부의 신혼부부 주택 지원정책이나 대출을 얻더라도 자가를 선호하는 현상이 반영됐을 수 있다고 통계청은 덧붙였다.

5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비중은 2015년 기준 서울은 31.3%, 수도권은 37.0%, 비수도권은 52.8%, 전국은 44.3%로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

김서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