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최형호]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시 개발에 시장후보들이 서울도시개발에 대한 각기 다른 정책을 내세우고 있어 선거 이후 서울시 도시사업의 향방이 주목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정책기조였던 도시개발사업이 지속될지 혹은 시장이 바뀌면서 기존과 사뭇 다른 서울시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해질지 향방을 가늠할 수 있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시 개발에 시장후보들이 서울도시개발에 대한 각기 다른 정책을 내세우고 있어 선거 이후 서울시 도시사업의 향방이 주목된다. 사진=한스경제DB.

또한 기존 박 시장이 시행했던 도시재상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갈 수 있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해 보인다.

현재 안철수 바른미래당 예비후보는 후보출마 선언당시 거창한 개발보다는 바로 할 수 있는 생활주변의 변화를 강조한 반면, 자유한국당 김문수 서울시장 후보는 낙후지역의 개발과 관련해 재개발, 재건축의 적극 허용을 주장하고 있다.

이 와중에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내에 추진 중인 크고 작은 정비사업이 409곳(2017년 12월 말 기준. 서울시)에 달한다.

이 중 준공이 임박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구역지정만 돼 사업 초기인 곳도 많다.

게다가 최근 몇 년간 뉴타운 출구전략을 통해 정비구역 지정이 해제 되는 등의 돌발 상황도 있었고 갈수록 전면철거 방식의 정비사업이 힘을 잃고 있는 상황이라 사업 초기인 곳들이 원활하게 사업이 진행될지는 미지수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따라서 서울시장 당선자의 정책 기조에 따라 더욱 힘들어 질 수도, 다시 숨통이 트일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서울의 주택보급량과 관련해 ‘과잉 vs 부족’ 주장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신규주택 공급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점은 앞으로 서울 주택시장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4월 중순 이후 서울에서 연말까지 총 1만8,800가구가 분양예정이다. 지난해 동기(1만7,188가구)보다 약 1,610여가구가 많다.

이들 가운데 재건축,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 분양물량이 1만3,707가구로 전체의 72.9%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정비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향후 현 정부, 새 서울시장의 정책기조에 따라 서울의 신규주택 공급시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셈이다. 역으로 새 아파트의 희소성도 함께 높아질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현재 서울에 400여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라 당장 올 해 부터 신규공급이 줄어든다고 보긴 어렵다”며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논란이 계속되는데다 용적률이나 층고, 전매제한, 분양가 통제 같은 규제가 계속되면 사업지연 또는 중단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나마 강남권의 경우 사업진전이 빨랐던 재건축단지들이 많다”면서도 “반면 뉴타운 출구 전략을 비롯해 사업 지연이 잦은 재개발 사업장이 많은 비강남권은 강남권과의 가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형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