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지호]국내외 금융ㆍ투자 전문가들이 상반기 한국금융의 가장 큰 위험요인(리스크)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가계부채 문제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을 꼽았다. 가계부채 누증이 74%로 그 뒤를 이었다. 

한은은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각 금융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각 전문가에게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될 요인 5개를 각각 꼽아달라고 하고 그중 응답자의 50% 이상이 선정한 변수를 '주요 리스크'에 올렸다. 

보호무역, 가계부채 이외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가 3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이 4위로 선정됐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위험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인 작년 11월에는 26%에 그쳤으나 새해 들어 미·중 통상 갈등이 격화하면서 50%포인트나 급등(76%)하며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큰 변수로 선정됐다. 

가계부채에 우려를 나타낸 전문가 비율은 작년 11월 조사 때 87%에서 13%포인트 쪼그라들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률도 15%포인트,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6%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반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 응답률로 주요 리스크에 올랐다가 이번에는 38%로 낮아졌다. 

각 전문가가 중요도 1순위로 가장 많이 꼽은 리스크는 가계부채 누증(26%)이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는 17%,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15%로 그 뒤를 차례로 이었다.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리스크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단기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1∼3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받았다. 

발생했을 때 영향력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등이 꼽혔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한편 전문가들은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56%)는 쪽에 무게를 뒀다. '높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그러나 1∼3년 이내 금융시스템에 위기가 올 수 있다는 가능성에는 '높다'가 38%로 '낮다'(20%)를 앞질렀다. '높다'라는 응답률은 작년 11월 조사 때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 3년간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해볼 때는 '높다'고 보는 전문가가 36%로 '낮다'(11%)보다 많았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