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LG트윈스 운영 LG스포츠, 내부거래 40% 이상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공정거래위원회는 일감 몰아주기와 담합 등에 대한 대기업 규제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가운데, 스포츠 관련 계열사까지 포함돼 재계 안팎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일례로 LG그룹의 야구팀 LG트윈스를 운영하는 자회사 LG스포츠의 경우 내부거래 비율이 40% 이상이라 대책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연합뉴스

27일 재계에 따르면 현재 ‘일감 몰아주기’ 감시 대상은 총수 일가 지분이 30%(비상장사는 20%) 이상인 회사다. 공정위는 개정안을 통해 이 기준을 상장사·비상장사 가리지 않고 20%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계열사가 50% 넘게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도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그러면 규제 대상이 현재 231개사에서 607개사로 3배 가까이 늘어난다.

현행 공정거래법에서는 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 중 특수관계인 지분이 상장사 30%, 비상장사 20% 이상인 계열사에 한해 내부거래 매출 규모가 200억원 이상 또는 매출 비중이 12% 이상이면 일감몰아주기 관련 적법성 여부를 검토한다.

문제는 개정안이 통과되면 야구단을 운영하는 LG스포츠와 두산베어스, 축구단을 운영하는 GS스포츠 등 스포츠 사업을 운영하는 비상장사 역시 규제를 피할 수 없게 되는 점이다.

서울 잠실 야구장에서 경기 중인 LG트윈스. /변동진 기자

◇대기업 스포츠 계열사, 열악한 시장 환경에 내부거래 없이 유지 불가능

예컨대 LG스포츠는 LG그룹 지주사회인 ㈜LG가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다. 하지만 지난해 매출액 620억200만원 가운데 43%(266억5000만원)가 내부거래로 발생했다.

세부적으로 모회사인 ㈜LG 73억3000만원를 비롯해 △LG전자 136억9800만원 △LG유플러스 30억9700만원 △LG화학 8억7000만원 △LG생활건강 6억8000만원 △LG하우시스 4억6000만원 △LG상사 4억원 △HS애드 5000만원 △LG CNS 4100만원 △서브원 2000만원 등이다.

마찬가지로 ㈜두산이 지분 100%를 보유한 두산베어스도 지난해 매출 556억3600만원 중 내부거래 비율이 33.9%(188억8300만원)였다. ㈜GS의 100% 자회사 GS스포츠는 56.2%(419억97000만원 중 236억원)였다.

규제 대상은 아니지만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지분율 2.5%)과 제일기획(67.5%) 등이 지분 70%를 보유한 삼성라이온즈 역시 내부거래 비율이 58%(701억6100만원 중 406억8200만원)이었다. 롯데자이언츠는 204억400만원의 매출 100%가 내부거래로 발생했다.

무엇보다 스포츠 계열사는 수익 창출을 위한 마케팅에 힘쓰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구단을 운영하기는 쉽지 않다. 선수들의 몸값은 점점 높아지는 반면, 수입의 대부분이 입장권과 중계권료, 모기업의 광고 등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 LG트윈스와 두산베어스의 경우 서울 잠실 야구장 광고 수입액의 80%는 소유주인 서울시가 챙긴다. 게다가 KBO(한국야구위원회)로부터 나오는 프로야구 중계권료는 지난해 기준 약 53억원씩 10개 구단이 동일하게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모기업 및 계열사 광고와 온라인 사업, 프랜차이스 상품판매 등이 아니면 구단을 운영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기업, 정부 요청에 300조원 쾌척…답장은 非(비)수익사업 스포츠 계열사까지 규제 

특히 스포츠 계열사는 수익을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지 않아 모든 영업활동이 수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지난해 LG스포츠는 영업손실도 28억1164만원, 순손실은 34억7423만원을 기록했다.

삼성라이온즈의 경우 2016년 39억원이던 영업이익 지난해 -11억3904만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GS스포츠와 롯데자이언츠는 각각 2억3582만원, 124억8222만원의 순손실을 봤다. 2017 시즌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한 두산베어스만 2016년 -15억3378만원에서 작년 57억5556만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아울러 삼성과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한화그룹, 신세계그룹 등 주요 대기업들은 300조원대 대규모 투자 및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고, GS그룹은 이날 20조원 투자 및 5년간 2만1000여명의 고용 계획을 내놨다.

재계 관계자들은 이처럼 정부 요청에 화답했음에도 오히려 사회공헌 차원의 사업까지 규제하면 누가 스포츠에 투자하겠냐는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 스포츠단을 운영하는 기업들 중 상당수는 국민체육 진흥과 스포츠산업 육성이라는 대의명분에 밀려 수십년간 적자를 감수하면서 투자를 해온 게 현실이다. 일부 기업들은 체육인들과 팬들의 반발을 의식해 울며겨자 먹기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는 스포츠단 폐지에 따라 여론의 따가운 눈총을 받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 중 스포츠 계열사를 수입 사업으로 운영하는 곳은 없을 것”이라며 “법안에 현실적인 부분이 반영됐으면 좋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변동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