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와 겨울은 어르신들에게 위험한 계절이다. 특히 동장군이 위세를 떨치는 겨울은 고령자들이 버텨내기 어려운 계절이다. 추운 날씨는 몸을 움츠리게 하고 이러 동작은 신체 밸런스를 무너지게 한다. 몸만 움츠러드는 게 아니라 피부 밑에 있는 혈관도 경직될 수 있다. 게다가 외부적인 요인은 뼈가 약한 노년 어르신들을 위험에 노출시킨다. 추운 날씨 어른신들이 가장 조심해야 할 질병인 뇌졸중·목디스크·고관절 골절을 피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겨울 뇌졸중 전조 증상 '구.급.차.타.자'

▲ 뇌졸증

최근 계속되는 추위로 혈관마저 움츠러들어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졌다.

특히 뇌졸중은 국내 단일 질환으로는 사망원인 1위이다. 뇌졸중이란 뇌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인 뇌혈관에 문제가 생긴 뇌혈관 질환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혈관이 터져서 생긴 뇌졸중을 뇌출혈, 혈관이 막혀서 생긴 뇌졸중을 뇌경색이다.

추운 겨울에는 교감신경계가 자극되면서 혈관이 수축, 심장에 더 큰 압력을 가해 전신에 피를 보내기 때문에 혈관 내 혈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뇌혈관 내 손상이 발생하면서 생긴 혈전이 혈관을 막게 돼 뇌졸중 유발되게 된다. 뇌졸중 예방을 위해서는 전조증상을 알아 두어야 한다.

뇌졸중 전조증상은 ‘구·급·차·타·자’로 쉽게 요약할 수 있다.

‘구’=구토와 벼락 두통이 생길 때, ‘급’=급하게 옆에서 손을 뻗어도 모를 때, ‘차’=차렷 자세로 못 서있을 때, ‘타’=타타타 발음이 안 될 때, ‘자’=자기도 모르게 한쪽 입꼬리만 올라가는 미소가 될 때다.

이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MRI나 뇌의 혈관 이상을 확인하는 MRA검사, 경동맥 초음파검사 등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뇌졸중은 빠른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만일 뇌졸중으로 쓰러졌을 경우 3시간 내에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만 손상을 줄이고 회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도훈 참튼튼병원 원장은 “뇌졸중은 국내 단일질환 사망원인 1위일 뿐만 아니라 일단 발병하면 20~30%가 사망하고 30%가 마비증상을 겪는 무서운 질환이다”라며 “건강검진을 받을 때, 뇌MRI도 함께 받아 자신의 뇌혈관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뇌졸중을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대위축, 목디스크 유발

기온이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근육과 인대가 위축돼 작은 충격에도 근골계 손상을 입기 쉬운데 목덜미가 뻐근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면 혈액순환이 잘 안되거나 만성피로 때문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움츠리는 자세가 좋지 않은 이유는 상체를 움추릴때 고개를 아래로 숙이거나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등의 행동이 경추로 가해지는 무게를 더하게 되기 때문이다.

목 디스크의 경우 초기 증상이 목 부위보다 어깨 통증이 자주 발생하고 팔이 저리고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먼저 나타나 오십견 또는 만성 어깨 통증으로 착각해 증상을 오인하기도 한다.

겨울철 목디스크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출 시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목을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목도리·모자·마스크 등으로 몸의 체온을 유지해 줄 수 있는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 아침에 외출하기 전에는 머리를 충분히 말려야 한다. 이 밖에도 밤새 굳어있는 목 근육이 제대로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온도가 떨어지면 목 주변 인대가 짧은 시간 내에 경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재균 동탄시티병원 원장은 “목은 우리 몸의 신체기관 중 체온 조절 능력이 가장 취약한 부위로 온도 변화에 굉장히 민감한 편이기 때문에 추운 날씨일수록 목 주변 보온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다”며 “평소 목과 어깨 근육을 부드럽게 만들어 줄 수 있도록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지만, 추운 날 실외 운동을 할 경우 체력 저하도 빠르기 때문에 가벼운 스트레칭부터 근력, 유산소 운동 등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고관절 골절’주의

노년층 환자들 중 겨울 철 가장 위험한 것은 낙상사고다. 빙판길 낙상은 전신의 관절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생명과도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전예방과 사고 후 조기에 정확한 치료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특히 70세 이상의 노인들은 빙판길에서 미끄러짐 사고를 주의해야 한다. 젊은 층과 비교해 보행능력이나 균형감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순간적인 사고대처능력이 낮아 낙상사고 발생률이 높기 때문이다. 더욱이 골다공증이 있거나 뼈와 근육이 약한 노인들은 살짝 엉덩방아를 찧는 정도로도 심각한 부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부상은 고관절 골절이다. 장기간 누워있게 되면 근력과 뼈 강도의 저하뿐 아니라 욕창이나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90%에 달하고 6개월 내 사망할 확률도 20~30%나 된다.

외출 시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지 않도록 보온에 신경 써야 한다. 관절운동이나 유연성을 떨어뜨리는 두꺼운 옷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벌 겹쳐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신발도 바닥 면이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제품을 사용한다. 보행에 어려움이 없어도 지팡이 등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해 천천히 보행하는 게 좋다. 또한 장갑은 꼭 끼도록 하고 균형감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거운 짐을 매거나 들지 말아야 한다.

빙판길에 미끄러진 뒤 대처도 중요하다.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 몸을 움직이면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지기 쉽고, 완전히 고관절이 부러지지 않아 큰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참다가 골절된 뼈가 더 어긋나고 날카로운 골절편이 주위 조직을 찔러 부상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송상호 웰튼병원 원장은 “고관절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 시 사고예방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평소 몸의 유연성과 근력을 키울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시행하는 것이 좋다”며 “넘어졌다면 빠른 시간 안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낙상시 무엇보다 빠른 판단과 정확한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채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