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임세원법 취지 반영 의료법 개정 추진…의료기관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필요
중증정신질환자 철저 관리…정신보건 예산 대폭 확충
최도자 의원 “동네의원 내 경찰과 핫라인 설치 방안” 제안

[한스경제=홍성익 기자] 지난 2014년 기준 국민 1인당 정신보건지출은 영국이 277.78달러(한화 31만1700원), 미국 272.80달러(30만6100원), 스위스 206.31달러(23만1500원), 일본 153.7달러(17만2400원)인 반면 우리나라는 44.8달러(5만270원)에 그쳐 이는 영국·미국의 1/6 수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도자 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도자 의원(바른미래당)은 9일 보건복지부로부터 ‘강북삼성병원 의사 사망사건 관련 현안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우리나라의 인구 1인당 정신보건 예산이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며, 향후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정신보건 분야에 대한 지출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특히, ‘임세원법’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한 의료법 개정의 필요성과 의원급 의료기관을 위한 대책으로 경찰과의 핫라인 개설, 보건복지 분야 폭력피해 현황에 대한 조사 및 의료현장을 위한 안전 가이드라인 도입, 중증정신질환자의 철저한 관리 및 정신보건 분야 지출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사전대책 성격인 청원경찰 등 안전인력 기준의 명문화와 사후대책 성격인 형량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의료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최 의원은 현재 일선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의료인들의 의견을 참조해 의원급 의료기관을 위해 경찰과의 핫라인 설치도 건의했다. 현실적으로 원장과 간호사 1~2명만이 근무하는 의원급의 경우 대피문 설치와 안전인력 고용이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은행이나 24시간 편의점과 같이 비상벨을 설치, 벨을 누르는 경우 인근 경찰서나 지구대의 경찰들이 출동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아울러 보건복지분야의 폭력피해 현황에 대한 조사와 의료현장에서의 ‘안전 가이드라인’의 도입을 요청했다. 미국의 경우 노동통계국이 의료인에 대한 폭력 노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보건 및 복지 서비스 종사자들이 입은 폭력피해가 전체 피해의 6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이에 대해 정확한 조사가 없는 형편이다.

제공= WHO, 최도자 의원실

게다가 미국은 연방정부차원에서 의료계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의료기관들이 예산이 있어도 추가투자를 머뭇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중증정신질환자의 경우, 환자의 동의 없이도 인적사항과 진단명 등을 관할 정신건강복지센터에 통보해 꾸준하게 관리·치료받도록 하는 방안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2017년 국가 정신건강현황 3차 예비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중증정신질환자의 정신보건시설 및 지역사회 재활기관 등록률은 약 30.0%인 6만2938명에 불과하다. 이번 강북삼성병원 사건의 피의자도 복지부에 문의한 결과,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 의원은 “지금 ‘임세원법’으로 거론되고 있는 내용의 상당수는 복지부가 지난 법안소위에서 만류했던 사항들”이라며, “강북삼성병원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의 여론이 크게 변하고 있으므로 복지부도 적극적인 입장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안전인력 배치가 힘든 의원급의 경우에는 경찰과의 핫라인 설치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의료기관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중증정신질환자의 경우 관리·감독의 사각지대가 많은 만큼 본인의 동의가 없더라도 관할 정신건강복지센터에 통보해 꾸준히 치료받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국민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정신보건 예산의 확충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병원 내 발생하는 폭력으로부터 위해(危害)를 당하지 않도록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 인력 배치 등의 내용을 담은 해당 법률은 작년 8월 최 의원이 대표발의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 보건복지위 법안소위원회에서 논의됐으나 단계적으로 접근을 하자는 복지부의 입장에 막혀 통과가 보류된 바 있다.

제공= 최도자 의원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