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솔이 기자] 찬바람 불던 국내 증시에 ‘1월 효과’가 찾아왔다. 중국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된 덕분이다. 나아가 증권가에서는 국내 기업들 역시 수혜를 입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은 새해 들어 한화로 약 10조원 규모의 전국 공항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글로벌 증시는 이 같은 조치에 대해 경기둔화와 미국의 무역제재 등으로인해  막혀 있던 중국 내수시장에 돈이 풀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 中 경기 둔화 가시화…경기 부양 속도 빨라져

코스피는 이달 중순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 의지를 드러내면서부터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중국 재정부·인민은행·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은 중국의 경기 둔화에 대응해 경제 성장에 주력하겠다는 뜻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에 그간 부담으로 작용했던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줄어들면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은 아시아 증시뿐 아니라 미국·유럽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며 “중국 정부는 인프라 투자 조기 집행과 중소기업 중심 유동성 공급, 그리고 2조 위안 규모의 감세 정책 등을 재차 강조하면서 부양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기 부양책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중국의 경기 악화가 가시화하자 당국이 적극적으로 움직인다는 분석이다. 실제 인민은행은 지난 4일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경기 확장 기준선인 50을 밑돌자 즉시 지준율을 100bp(1%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는 3월 양회 이후 확정이 기대됐던 철도·도시 계획 승인, 중소기업 대출 지원 등이 생각보다 빠르게 결정됐다”며 “증치세(부가가치세) 인하, 소득공제, 가전·자동차 하향(下鄕) 등은 양회 전후 부각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또한 “중국 정부의 정책 대응이 예상보다 더 빨라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 속도를 볼 때 미·중 무역협상 결과와 무관하게 상반기 중 내수 경기 바닥 확인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 단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기본적인 통화·재정 완화에 더불어 내구재 소비 촉진 정책, 부동산 규제 해소 등이 진행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 중국 첨단산업 육성…배터리·반도체·태양광 수혜

이처럼 중국이 경기 부양책에 속도를 내면서 증권가에서는 수혜 종목 찾기에 나섰다. 국내 주요 기업들이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을 겪으면서 이익 모멘텀(성장 동력)이 사라진 가운데 중국발(發) 호재가 더욱 주목받게 됐다.

먼저 중국 정부는 1분기 예산으로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두산인프라코어 등 중국 경기 둔화와 수요 감소 우려에 하락세를 보였던 인프라 관련 기업들이 반등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중국 굴삭기 내수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두산인프라코어의 주가가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 인프라 투자의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또 중국 정부가 자동차·가전 소비 촉진 정책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앞서 이들 기업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국 소비심리 위축 여파로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자동차 수요 하락이 시장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며 “중국의 경기 부양책으로 자동차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을 완화됐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이번 경기 부양책이 중국 소비주(株)뿐 아니라 첨단산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소비 성향을 높이려는 중국의 민간 감세 및 보조금 정책으로 국내 소비업종의 수혜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기존 중국의 경기 부양책이 ‘구경제’ 기업과 정부 레버리지를 기반으로 했다면 현재 중국의 경기 부양책은 ‘신경제’와 민간 레버리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첨단산업 육성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장비, 태양광 순으로 중국발 수혜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솔이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