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14년 만에 부활한 수소 경제
기대만큼 풀어야 할 과제도 많아

[한스경제=강한빛 인턴기자] 14년 만에 수소 경제 로드맵이 다시 떠오르며 관련주가 들썩이고 있다. 지난 17일 정부가 ‘수소 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며 2030년 수소차·연료전지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이후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지난 17일 문재인 대통령이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서 발언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관련주로 분류되는 미코는 18일 주식시장에서 전날보다 29.98% 오르며 6590원으로 거래됐다. 미코는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연료전지 스택 개발로 정부의 녹색인증을 받았다. 이외에도 대우부품(29.82%), 성창오토텍(29.70%) 등 관련주들도 나란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한국 정부가 수소 경제에 관심을 기울인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5년 참여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200만대를 보급하는 '수소 경제 마스터 플랜'을 세웠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10월 국회 연설을 통해 “탄소시대는 뒤졌지만 수소 시대만큼은 원천 기술로 우리가 앞서갈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라고 언급했다. 박근혜 정부는 ‘제3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과 보급 기본 계획’을 내세우며 2020년 9000대까지 늘린다며 수소 경제 활성화에 힘을 실었다.

그럼에도 현재 국내 수소차 누적대수는 2000여 대, 보급된 수소충전소는 15곳에 불과하다. 수소연료의 안정적 공급, 수요 확장을 감당할 생산 능력, 수소충전기 1기 설치에만 30억 이상이 드는 비싼 비용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안전성에 걱정도 이어지고 있다. ‘친환경 수소산업 특별시’를 선포한 경남 창원시만 하더라도 위험할 수 있다는 민원 때문에 창원테크노밸리, 한국전기연구원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외곽 지역에 충전소를 설치해야만 했다. 이에 정부는 1기당 설치비의 절반인 15억 원을 지원, 산업부는 “수소가 도시가스보다 위험도가 낮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연내 수소경제법을 제정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만들 방침이다.

 

강한빛 인턴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