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올해 대비 10조3055억 증가…정부 총지출 중 16.1% 차지
사회안전망 강화-건강투자·바이오헬스산업 육성-저출산·고령화 대응 중심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한스경제=홍성익 기자] 내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이 82조8203억 원으로 편성됐다.

29일 복지부의 ‘2020년 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따르면 이 같은 예산안은 올해 예산액 72조5148억 원 대비 10조3055억 원 증가(14.2%)한 것이며, 2017년 이후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제공= 보건복지부

모든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포용국가 정책기조에 따라 정부 총지출 중 복지부 예산 비중 역시 2017년 14.4%에서 2020년 16.1%로 증가했다.

내년 예산안은 포용국가 기반 공고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 혁신성장 가속화를 기본방향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사회안전망 강화 △건강 투자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중심으로 예산안을 편성했다.

◇ 포용국가 사회안전망 강화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줄어든다. 부양의무자 기준을 개선해 중증장애인 수급자 가구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으며, 수급자 재산 기준도 완화해 생계급여 대상자 범위를 넓힌다.

생계급여는 올해 3조7617억 원(추경예산+109억원 포함)에서 내년 4조3379억 원(5762억 원, 15.3%)으로 편성됐다.

일할 수 있는 저소득층이 극빈층으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노인 일자리 13만 개(61→74만 개), 장애인 일자리 2500개(2만→2만2500개)를 늘리고, 자활일자리 5만8000개를 운영한다.

내년부터는 25세~64세까지의 생계급여 수급자에게 30%의 근로소득 공제가 적용되며, 이를 통해 수급자는 공제 금액만큼 소득산정에서 차감 받게 된다.

일하는 차상위계층 청년(만 15세~39세)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저축계좌를 새로 도입한다.

◇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지원

올해 7월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라 장애인 맞춤형으로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장애인활동지원 대상(+9000명, 8만1000→9만 명), 시간(월 평균 109→127시간)을 확대한다.

성인 주간활동(+1500명, 2500→4000명), 청소년 방과후 돌봄(+3000명, 4000→7000명) 확대를 통해 발달장애인 자립생활을 지원한다.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퇴소한 보호종료아동의 안정적 사회 복귀를 지원하는 자립수당(월 30만 원) 지급 대상(+2900명, 4920→7820명)을 늘린다.

또한 기존에 민간 기관에 분산돼 수행된 아동학대, 입양, 실종 업무를 아동권리보장원에 한데 모아 ‘아동 중심’ 통합서비스 제공을 지원한다.

◇ 국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도움이 필요한 국민을 찾고, 돌보고, 지원하는 사회복지 체계가 강화된다.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한다, 오는 2021년 9월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된다.

읍·면·동 단위 상담·사례관리를 강화해 복지서비스가 지역주민에게 빈틈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전달체계 시범사업(4개 광역자치단체, 60억 원)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사회복지 기반을 강화한다. 평소 살던 집에서 건강관리, 요양, 돌봄서비스를 받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을 1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본격 시행한다.

다양한 국·공립 시설을 운영하며 종사자를 직접 채용하는 사회서비스원은 올해보다 7개가 늘어난 11개소가 운영된다.

◇ 국민 건강 살피는 건강투자 확대·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성장 가속화

건강보험 정부지원을 역대 최대 규모인 1조895억 원을 증액한다. 이를 통해 국민 의료부담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재정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한다.

만성질환(고혈압·당뇨 등) 위험군이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보건소 이동통신건강관리(모바일헬스케어) 참여 개소수를 확대(+30개소, 100→130개소)한다.

지역 밀착형 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생활지원센터를 확충(+20개소, 75→95개소)한다.

증가하는 정신건강 분야 정책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내년 관련 예산을 올해 대비 39% 증액(738→1026억 원) 편성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전문 인력을 확충(+580명, 790→1370명)하고,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을 확대(1개→6개 광역지방자치단체)해 자살예방과 정신질환 조기발견·재활·치료 역량을 강화한다.

자살시도 등 응급상황에 대한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응급개입팀(34개)을 새로 만든다.

최근 급증한 A형 간염 발생을 고려해 고위험군(20~40대 만성간질환자 등) 대상 무료예방 접종(2회)을 새로 지원한다.

지역 내 필수 의료서비스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지역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응급의료·심뇌혈관 장비 보강 등을 지원하고 책임의료기관으로 육성한다.

중증 질환이 있는 어린이를 위한 입원병동(1개소) 설치 예산을 새로 편성해 가족의 24시간 간호 부담이 완화되도록 했다.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헬스(의료데이터, 의료기기, 제약) 분야의 혁신성장을 위한 보건의료 주요 연구개발(R&D)예산이 올해 4669억 원에서 내년 5278억 원(+609억 원, 13.0%)으로 편성됐다.

바이오헬스 기술혁신을 위한 유전체·의료임상정보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질병극복·산업발전 기반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의료데이터 중심병원(5개소, 93억 원)을 새롭게 지원·운영한다.

의료기기 연구개발(R&D)부터 제품화까지 전주기(R&D-임상-인허가-제품화) 지원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R&D) 예산 302억 원이 신규 편성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제약·바이오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보육지원체계 개편(2020년 3월)을 통해 돌봄 공백 없이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고 보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한다. 이를 위해 연장보육료를 신설(0~2세 : 420억 원, 3~5세 219억 원)하고 보조·연장보육교사를 배치(연장교사 +1만2000명, 4만 명→5만2000명 / 대체교사 +700명)한다.

맞벌이 가구 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함께돌봄 센터를 550개소 추가 설치(누적 167→717개소)하며, 국공립어린이집을 550개소 이상 확충해 돌봄체계를 더욱 촘촘히 구축한다.

노인 욕구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그간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6개 노인돌봄사업을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통합하고 돌봄규모를 확대(+10만 명, 35→45만 명)한다.

이를 통해, 기존 사업별 일률적 대상 선정 및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개인별 서비스 제공계획을 수립해 돌봄에 필요한 서비스(4개영역 17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노인 소득을 보다 두텁게 보장하기 위해 기초연금 월 최대 30만 원 지급대상이 소득하위 20%에서 소득하위 40%로 확대된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