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박관수 상계백병원 교수 “저작·신 맛 나는 음식, 타액 분비에 도움”
심장·신장·간질환 있으면 수분 섭취량 조절해야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구강도 환절기의 영향을 받는 것일까? 환절기가 되면 입 안이 건조한 증상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진다. 65세 이상 인구의 40%가 겪는 것으로 알려진 구강건조증은 타액(침) 분비의 감소로 인해 입 안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건조한 환경에 더욱 발병하기 쉬운 질환이다. 환절기에는 대부분 습도가 낮아지므로 모든 부분이 건조해지기 쉬우며 구강도 그 중 하나로 영향을 받기 쉽다.

박관수 교수

입이 말라 있다는 느낌 자체가 구강건조증의 증상인데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미각을 느끼기 어려워지게 된다. 혀에는 미각을 느끼는 미뢰가 있는데 충분한 습기가 있어야만 미뢰가 정상적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습기가 사라지면 그만큼 맛을 느끼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음식을 씹는 저작 행위나 삼키는 연하 행위도 타액에 의한 윤활 작용이 중요한데, 입 안이 마르게 되면 저작과 연하 기능이 감소하여 씹거나 삼키기도 어려워진다.

구강건조증이 생기면 혀의 움직임이 방해를 받아 발음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혀의 표면이 갈라지는 균열 현상과 통증도 발생할 수 있다. 완전 의치를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의치가 입 안에 잘 붙어있을 수 있는 힘이 줄어들어 의치가 잘 빠지게 된다. 타액은 치아 주변을 깨끗이 유지해주고 타액 속의 향균 성분이 입 안의 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구강건조증이 지속되면 충치나 잇몸질환이 발생하기 쉽고 구취도 생길 수 있다.

입 안이 계속 마르게 되면 타는 듯한 느낌을 받는데, 이를 구강작열감증후군이라고 하며 증상이 더욱 악화되기도 한다.

박관수 인제대 상계백병원 치과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타액선이 위축돼 그 기능이 떨어지므로 타액의 분비가 줄어들어 구강건조증이 생기기 쉽다”며, “치아를 상실하거나 잇몸질환이 있는 경우, 이로 인해 저작 기능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도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므로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고혈압과 당뇨 등의 다양한 질환을 가지게 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 복용이 늘어나는데 이러한 약 성분 중에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있어 구강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구강건조증을 치료하는 데는 타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인공 타액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타액 분비는 신 맛과 저작에 의해 촉진될 수 있는데, 당분이 들어가지 않은 껌을 씹고 식사 시 새콤한 음식을 함께 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지나친 껌 씹기는 치아나 턱 관절에 좋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심장질환, 신장질환,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수분 섭취가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 후에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치아나 잇몸이 부실하면 저작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저작 기능을 회복해 줄 수 있는 치아 회복 치료, 잇몸병 치료가 도움이 된다.

인공 타액 또는 타액 보조제의 사용으로 구강건조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안구건조증에서 인공 눈물을 사용하는 원리와 비슷하다. 타액선(침샘)에 병이 있어 타액이 잘 분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타액선 질환을 치료해야 한다.

박관수 교수는 “저작과 신 맛 나는 음식이 타액 분비에 도움을 주므로, 당분이 들어있지 않은 껌을 자주 씹고 식사 때에는 신 맛이 나는 음식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고, 물을 자주 충분히 마셔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구강 세척제를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구강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횟수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