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스트레스, 술로 해결하는 습관·반복적 음주…직장·학교·가정 등 문제 발생
건보공단, 빅데이터 활용…50~60대 비중 높아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지난 한 해 동안 '알코올 사용장애(알코올 중독)'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가 7만5000여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는 줄어든 반면, 여성 환자는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알코올 사용장애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수는 2014년 7만8000여 명이었으나 작년에는 7만4000여 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5년간의 연평균 감소율은 1%를 기록했다.

남성 환자는 2014년 6만2000여 명에서 2018년 5만8000여 명으로 4000여 명 줄어들었다. 여성 환자는 같은 기간 1만6000여 명에서 1만7000여 명으로 1000여 명 늘어났다. 남성 환자는 연평균 감소율 1.73%, 여성 환자는 연평균 증가율 1.6%를 기록했다.

지난해 기준 성별 인원을 보면,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인원은 전체 7만5000여 명 중 5만8000여 명(77.2%)이 남성 환자이며, 이는 여성 환자 1만7000여 명(22.8%) 대비 약 3.4배에 달했다.

지난해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알코올 사용장애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가 1만9793명(26.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가 1만5256명(20.4%)으로 뒤를 이어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실인원은 50대에서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 가운데 여성은 40대가 22.8%(3883명)로 많았고, 남성은 50대가 28.2%(1만6269명)로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진료실인원의 비율인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60대 243명, 50대는 234명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60대가 438명, 여성은 20대와 40대가 94명으로 가장 많았다.

알코올 사용장애로 입원한 환자수는 2014년 3만1000여 명에서 2018년 2만4000여 명으로 7000여 명이 줄어 연평균 감소율 6.1%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외래와 약국 환자수가 7만여 명에서 7만2000여 명으로 증가했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알코올 사용장애로 인한 전체 진료비는 2014년 2183억 원에서 2018년 1895억 원으로 288억 원이 감소해 연평균 감소율 3.4%를 보였다.

외래 1인당 진료비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5.4%로 늘어나고 있어, 입원 1인당 진료비의 연평균 증가율 2.1%에 비해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이덕종 건보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남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여성보다 많은 것은 대부분의 인종 및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아마도 생물학적인 요인이 영향을 끼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하지만 남성의 알코올 사용에 보다 관대한 문화, 남성이 음주 등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환경적 요인, 임신·양육 과정 등에서 여성이 금주를 하게 되는 상황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소 역시 남성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비중을 더 높게 만든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비록 여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적은 비중을 차지할지라도 알코올 사용장애로 이환된 여성의 임상 양상이 더 심각한 경우도 많다"며, "여성은 술을 분해시키는 효소가 남성보다 적고 체내 지방조직에 비하여 알코올을 희석할 수 있는 수분의 비중은 적기 때문에 같은 양과 패턴으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혈액을 통해 전달되는 알코올의 독성은 여성에서 더 높아 간질환, 위장 장애, 심근병 등의 신체적 질환의 위험성이 크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