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 응원단이 관중 없이 홀로 응원하고 있다. /OSEN

[한스경제=이정인 기자] 정부가 프로스포츠 관중 입장을 또 불허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와 구단들의 근심은 계속 늘어만 간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수도권 방역 강화조치 조정방안을 논의해 주민들께서 자주 찾는 공공 도서관, 미술관 등 편의시설 운영을 재개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20일부터 수도권의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공공시설은 입장 인원 제한, 전자출입명부 도입과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운영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관심을 끌었던 프로야구 등 프로스포츠 관중 입장은 보류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번 조치에 야구, 축구 등 프로스포츠의 관중 입장 허용은 포함되지 않으며, 전국적인 환자 발생 추이를 고려하여 향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7월 내 관중 입장은 물 건너간 분위기다. KBO와 10개 구단은 관중 입장을 대비한 코로나19 대응 매뉴얼을 자체 제작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역 당국의 입장 허용 승인만을 기다렸다. 7월 초부터 관중 입장이 가능할 것처럼 보였으나 지역 전파 사례가 끊임없이 나와 신규 감염자 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은 탓에 유야무야 됐다. 

형평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야구장과 마찬가지로 많은 인원이 입장하는 해수욕장이나 워터파크가 6월 초 일제히 개장했고, 고위험 시설인 동전노래방도 최근 방역 수칙을 이행한다는 조건으로 집합금지가 해체됐다. 하지만 프로스포츠에만 유독 엄격한 잣대를 들이민다는 불만 어린 목소리가 나온다.

정확한 관중 입장 시기를 가늠할 수 없어 무관중으로 시즌을 치르고 있는 프로야구 구단들의 재정난은 지속될 전망이다. 입장수익은 구단 1년 수입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 지난 5월 5일 개막한 프로야구는 이미 정규시즌의 절반에 가까운 팀당 62~66경기를 소화했다. 구단들은 경기당 1억~2억 원 이상의 입장 수입 손실을 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10개 구단의 총 관중 수입은 약 858억3500만 원이다. 그러나 올해는 정규시즌 일정의 약 45%를 소화할 동안 입장수익이 ‘제로’였으니 벌써 약 387 원이 증발한 셈이다. 관중이 오지 않으면 입장료 수입은 물론이고 구단 상품(굿즈) 판매, 광고 매출, 식음료 매출, 심지어 주차요금 수입까지 모두 끊긴다.  대부분의 구단은 이미 1년 예산을 감축하거나 재조정한 상황이다. 

야구계에선 “7월이 마지노선”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이달에도 무관중이 이어진다면 8월부터는 심각한 재정난을 겪는 구단이 나올 것이라는 얘기다. 구단들도 방역의 중요성에 대해선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야구계엔 더 관중 입장을 미루다가는 회복불능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한 수도권 구단 관계자는 “정규시즌 일정 절반 가까이 소화했는데도 무관중 경기가 계속되고 있어 손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임계점에 다다르고 있는 것 같다. 정부의 입장도 이해하지만, 이런 어려운 현실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이정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