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이건희 회장 화성 삼성반도체서 마지막 인사
유언장에 대한 여부 관심사, 지배구조에 영향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영결식이 28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강당에서 비공개로 열린 가운데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유족들이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지난 25일 향년 78세의 일기로 별세한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영결식과 발인이 28일 오전 엄수됐다.

이날 오전 7시 30분부터 1시간여 동안 삼성서울병원 암병동 지하강당에서 상주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 회장의 영결식이 열렸다.

영결식에는 고인의 동생인 이명희 신세계 회장과 조카인 정용진 부회장, 고인의 조카인 이재현 CJ그룹 회장 등 친척들도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 등 고인이나 유족들과 인연이 깊은 일부 재계 총수도 참석했다.

영결식은 이수빈 삼성경제연구소 회장이 고인의 약력을 보고하고 고인의 고교 동창인 김필규 전 KPK통상 회장이 추도사를 읽은 뒤 추도 영상을 틀고 참석자가 헌화를 하는 등의 순서로 약 한 시간 가량 진행됐다.

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영결식이 엄수된 28일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 고인의 운구차량이 들어서고 있다. / 연합뉴스

삼성 측은 이 회장의 장례가 가족장으로 치러지는 만큼 영결식도 간소하게 비공개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발인 이후 장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운구 행렬은 이건희 회장이 생전 발자취가 담긴 곳들을 돌며 임직원들과 마지막 이별을 고했다.

이 회장을 태운 운구 차량은 이날 오전 11시께 삼성전자의 경기도 화성 반도체 사업장에 도착했다. 화성 사업장은 삼성전자의 핵심 산업인 반도체를 연구·생산하는 곳으로 2000년에 준공됐다. 1983년 이병철 선대회장과 함께 이건희 회장이 직접 사업장 부지를 확보하고 착공, 준공식까지 직접 챙길 정도로 애착이 깊은 곳이다.

또 이 회장은 1984년 기흥 삼성반도체통신 VLSI공장 준공식부터 2011년 화성 반도체 16라인 기공식과 이후 준공까지 총 8번의 공식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1000여명이 넘는 임직원들이 길가에 나와 이 회장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화성 사업장 H1 정문에는 “회장님의 발자취를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반도체 신화 창조를 계속 이어가겠다”는 글귀가 적힌 현수막들이 걸려 있었다.

운구 행렬은 이후 장지인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의 가족 선영으로 향했다. 이곳은 이병철 선대회장의 부모와 조부의 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0년 화성 반도체 16라인 기공식에 참석한 고 이건희 회장 모습. /연합뉴스

한편 이건희 삼성 회장이 이날 영면에 들면서 이 회장의 유언이 남아 있는지도 관심사다. 이 회장이 보유한 주식 평가액이 삼성전자(4.18%)와 삼성생명(20.76%) 등 18조 2000억원에 달해 재산의 상속 여부에 따라 삼성그룹의 승계와 지배구조가 달라질 수 있어서다.

유언장을 남겼을 것이란 추측에 따르면 이 부회장이 주식 과반을 상속하고 다른 가족은 부동산, 현금성 자산을 더 많이 상속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권 분쟁으로 형제와의 갈등을 겪은 바 있는 이 회장이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다.

다만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 심근경색으로 갑자기 쓰러진 뒤 6년 넘게 뚜렷한 의식 없이 병상에서 머물렀던 만큼 별도의 유언장을 남기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경우 법정 상속 비율대로 홍라희 전 관장이 33.33%, 이재용 부회장과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이 각각 22.22%씩 상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홍 전 관장이 삼성전자, 삼성생명의 개인 최대주주가 돼 지배구조의 캐스팅보트를 쥐게 된다.

그럼에도 삼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이 부회장이 지배하는 체제를 완성했던 만큼 홍 전 관장이 가장 많이 상속받더라도 삼성전자 지분율이 0.91%에 그치고,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이사장도 이 부회장에 비하면 지분율이 적어 이 부회장 중심의 지배구조가 크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재계는 전망한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