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국내 ESG펀드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픽사베이 제공

[한스경제=김동호 기자] 최근 은행 등 금융권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환경(E)과 사회책임(S), 지배구조(G) 관련 투자가 늘면서 ESG펀드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과거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던 ESG펀드는 올 들어 순자산 규모와 수익률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연금도 최근 ESG 투자를 확대하면서 일반 투자자의 관심도 높아지는 모습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인 뉴딜정책 추진으로 인해 ESG 채권 시장도 크게 확장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기준 국내 ESG펀드는 총 46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펀드의 순자산은 대략 1조 1200억원 수준으로, 작년 말 이후 가파르게 감소하던 순자산이 최근 급격히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ESG펀드의 수 역시 지난 2017년말 24개에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국내 ESG펀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은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ESG 펀드로, 전체 ESG 펀드의 절반 이상(약 55%)을 차지했다. 이어 국내 채권과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ESG 펀드가 뒤를 이었다. 최근 해외 주식에 대한 관심이 늘며 관련 해외ESG 펀드 출시도 증가세다.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서 조사한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ESG 펀드의 순자산은 6200억원 수준으로, 전체 주식형 공모펀드의 순자산 대비 1.1%에 불과한 상황이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Ÿ국내 ESG펀드는 액티브 펀드가 주도하고 있다"며 "마이다스자산운용과 NH-아문디자산운용, KB자산운용의 비중이 크고, 최근에는 기존 액티브 펀드를 ESG 펀드로 변경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Ÿ인덱스 펀드로는 지난 2017년말부터 ESG ETF가 출시됐지만, 아직 인덱스 ESG펀드의 규모는 크지 않다는 평가다.

김재은 연구원은 "국내 ESG펀드는 공모펀드보다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위탁투자 내 책임투자형이 주도하고 있다"며 "작년말 기준으로 5조2000억원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재차 (순자산이)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Ÿ지난 10월 국민연금이 책임투자형 위탁운용사로 교보악사자산운용, 브이아이자산운용,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을 추가 선정하면서 위탁운용 책임투자형 순자산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국민연금의 책임투자형 ESG펀드 운용방법을 살펴보면, 자체적인 책임투자형 벤치마크를 90% 이상 편입하고, 추가적으로 술, 담배, 도박 관련 등의 주식은 운용 대상에서 제외 시키고 있다. 특히 Ÿ국민연금은 오는 2022년까지 책임투자 적용 자산군 규모가 기금 전체 자산의 약 50%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내년부터는 ESG 통합전략을 통해 해외 주식과 국내 채권 투자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올해 초부터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역시 ESG 투자 확대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정부 재정정책의 역할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에선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 지원책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 역시 지난 7월 그린뉴딜과 함께 디지털뉴딜이 주축이 되는 ‘한국형 뉴딜’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ESG펀드 뿐 아니라 ESG 채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유엔 책임투자원칙(UNPRI)에 서명한 기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장 적극적으로 ESG 투자 기준을 적용하는 자산군은 채권과 주식으로 조사됐다.

송승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ESG 투자의 목적은 단순히 정부 정책에 따르는 것 이상"이라며 "ECGI 등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책임투자가 장기적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낮춰주고 수익률을 제고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일부 선진국의 리테일 시장에서는 수익률에 상관없이 친환경, 그린, 책임투자 등 태마에 투자하겠다는 수요가 꾸준하다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 연구원은 "모든 자산군에서 2017년보다 더욱 활발한 ESG 투자가 관찰되고 있다"며 "금융기관들이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ESG채권을 통한 자금조달이 커지고, 재생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사업 등 향후 먹거리 사업으로 각광받는 친환경 사업투자와 연계된 채권발행도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