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자료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최지연 기자] 지방대학의 존폐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지방대학 위기에 대한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13일 "정부는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지방대학을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며 "지방대학 내부에 침체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고 지방대학을 효율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방침을 내놓아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최근 부산의 4년제 대학 15곳이 2021학년도 정시모집을 마감한 결과 평균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떨어진 2.21대 1을 기록했고 전체 지원자수도 19.44%로 감소했다.

그나마 충북대는 4.27대 1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경쟁률인 5.65대 1에 비하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올해 대학 정원은 총 47만9천12명인데 비해 지난달 수능을 본 인원은 42만1천34명에 불과하다. 대학 정원 대비 신입생 자원 역전 현상이 처음으로 발생한 것이다. 

물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지난해 2022학년도 수능을 기약한 수험생이 많다. 지난해와는 다르게 특수한 상황도 있어 비교가 무의미할 수 있지만 이러한 사태가 서울 주요 대학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데에서 심각성을 엿볼 수 있다.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결과 서울 소재 대학에서는 최저 경쟁률이 3대 1 미만으로 떨어진 곳이 없다. 서울대의 경우 경쟁률이 3.82대 1로 지난해 경쟁률 3.40대 1보다 상승했고 연세대와 고려대를 포함해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의 서울 주요 대학은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하락했지만 모두 3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보통 정시 모집에서 한 수험생이 '가' '나' '다' 군에서 각각 한 번씩 총 3번의 원서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중복으로 합격한 학생이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고려하면 평균 경쟁률이 3대 1 미만인 경우 입학 정원 미달이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중복 합격한 경우 지방대학보다는 서울 내 대학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지방대학의 정원 미달은 서울 내 대학 쏠림 현상과 지방대 존폐 문제로까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방대의 폐교나 퇴출 대신 교육의 질을 높여 존속시키자는 취지에서 '공영형 사립대 사업'을 내세우기도 했지만 유명무실해진 지 오래다. 교육부가 최근 사업 명칭을 '사학혁신지원'으로 바꾸고 사업 방향까지 변경했으나 정부는 2021년 예산안으로 이 사업에 53억 원만 반영했을 뿐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는 못했다.

심지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서울의 주요 사립대 9곳에 지방 거점 국립대 9곳보다 더 많은 재정과 예산을 지원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불평등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결국 학령인구 감소나 코로나19 악재 등 여러 가지 상황으로 인해 각 대학 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경쟁률만 놓고 비교하더라도 심각성은 서울 외 지역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역 인재들이 서울로 몰리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끝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최지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