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대전 IEM국제학교 수련생들이 강원 홍천군의 한 교회에서 생활치료센터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최지연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발발한 대전 IEM국제학교, TSC에이스국제학교가 미인가 대안학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외에도 대부분의 국제학교가 허가 없이 운영되는 대안학교라 방역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우려가 크다.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르면 학교 종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각종학교, 특수학교가 있다. 이 각종학교에 외국인학교나 대안학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안학교 중 교육 관계 당국이 학력을 인정해주는 학교로 특성화 학교나 위탁형 대안학교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미인가 상태로 운영돼 지자체나 교육청의 관리·감독을 받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3월 기준 교육과정, 교직원 배치, 시설 기준 등 법적 조건을 충족한 45곳이 대안학교 인가를 받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안학교가 이런 요건을 맞추기 힘든 정도의 소규모 시설이라 미인가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당국에서는 미인가 시설에 대한 정확한 규모 파악조차 힘든 상태다. 등록되거나 신고된 사항이 없고 새로 만들어지거나 없어지는 것도 쉽게 계속되다 보니 현재는 300곳 정도로 추정할 뿐이다.

물론 실제로 교육 당국에 허가를 받고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국제학교도 있다. 제주도, 송도 등에 위치해 있다. 그 외에는 국제학교라는 이름을 해당 시설을 운영하는 주체가 임의로 붙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 등지에 비싼 등록금을 받으며 국제학교로 운영되는 곳들은 미국이나 캐나다 일부 주와 학력인정 협약을 맺었을 뿐 실제로는 학원이나 평생교육시설로 등록돼있는 경우가 많다.

이번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문제가 된 대전 IEM국제학교도 마찬가지다. 무인가 대안학교이기 때문에 방역 당국의 관리·감독을 받지 못했다. 기숙사 방마다 7~20명의 학생이 배정돼 함께 생활하고 일부 층은 샤워시설이나 화장실도 공용으로 사용했다고 알려졌다. 지하식당에는 좌석별 칸막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도 IM 선교회가 운영하는 또 다른 비인가 교육시설인 광주 TCS에이스국제학교에서도 지난 23일부터 확진자 23명이 나와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반면 인가된 대안학교의 경우 학교 방역기준에 맞춰 관리된다. 거리두기 단계별로 학교 밀집도가 적용되지만 대부분 전교생 300인 미만의 소규모학교라 2.5단계에서도 매일 등교가 가능했다. 기숙사는 2단계에서 1인 1실 이용과 아침저녁 발열 체크 등 방역지침을 지키는 선에서 2.5단계에서는 3분의 1 이내 이용만 허용됐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학생들과 학부모가 대안학교에 꾸준히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유학 때문이다. 이런 대안학교는 유학을 하러 갈 수 있는 연결 통로가 된다. 일반 학교에서는 유학과 관련된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았지만 대안학교는 유학과 관련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미국식 학제에다 졸업 후에는 유학 과정 전반을 돕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학생들은 비싼 학비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아예 자퇴하고 국제학교를 선택하기도 한다.

정부는 이번 대전IEM국제학교 집단 감염이 '제2 신천지·BTJ열방센터 사태'로 비화하지 않도록 대안학교 기숙 시설을 일제히 점검하도록 지시했다.

25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집단감염이 발생한) 기숙형 대안학교가 전국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운영됐기 때문에 이 상황에 매우 엄중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역학조사 역량을 최대한 투입해 이른 시간 내에 방역망을 펼쳐 추가 확산을 차단해 달라"라고 주문했다.

 

최지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