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원전 수출 청신호 “시너지 효과로 수주 경쟁력 매우 높아질 것”
탄소중립 위해 SMR 불가피...한미 SMR 협력도 가능
한국의 해외 원전사업 능력을 전 세계에 입증한 바라카원전 1~4호기.(사진=한국전력)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한미 정상이 해외 원전시장 공동진출에 합의함에 따라 국내 원자력 업계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안으로는 탈원전 기조를 공고히 하고 밖으로는 원전 수출을 타진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UAE에 한국형 원전 수출 후 전무하던 해외 원전 수출에 물꼬가 트이는 것은 물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원자력 업계의 새로운 활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높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해외원전시장 공동진출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원전사업 공동참여를 포함해 해외원전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최고 수준의 원자력 안전·안보·비확산 기준을 유지키로 합의한 것이다.

이날 공동성명과 함께 공개된 팩트시트(Factsheet·설명자료)에는 한미 양국이 함께 원전 공급망을 구성함으로써 해외원전시장에 공동참여(co-participate)하기로 약속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원전공급 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추가의정서 가입 조건화를 양국 비확산 공동정책으로 채택하기로 하는 등 원자력분야 협력 강화방안을 구체화했다. 이미 한미 양국은 고리 1호기 도입부터 원자력 분야의 오랜 파트너로 원전 기자재 공급, 연구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지속해 왔지만 이번 합의로 양국 원전 협력이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해외 신규원전사업에 양국 주요 원전기업들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가운데, 이번 양국 정상간 합의를 계기로 기업간에도 구체적인 협력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원전 강국인 미국 기업들과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과 더불어 UAE 바라카원전 1호기 상업운전을 성공시킨 우리 기업들간 최적의 해외원전 공급망을 갖추게 될 경우, 수주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양국 원전 생태계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원전업계에 따르면 현재 해외 여러 국가에서 신규 원전 도입을 추진 중이다. 체코는 두코바니 지역에 사업비 8조원 규모로 1200MW급 원전 1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체코 총선 이후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체코 신규 원전 사업에는 한국과 프랑스, 미국이 수주 경쟁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폴란드는 총 6000∼9000MW 규모의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위해 한국, 미국, 프랑스 등과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차세대 원전 2기를 짓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향후 양국은 정상회담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정부간 협의를 이어가면서 원전수출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와 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특히 일각에서는 이번 한미 양국의 원전 공조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탈원전 기조는 공고히 하고 원전 기술은 수출하는 이른바 ‘투트랙’ 전략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전환 정책(탈원전)은 높은 원전 밀도와 지진 위험성, 사용후핵연료 문제, 국민 수용성, 외부비용에 따른 경제성 악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며 “국내에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분명한 입장을 내놨다.

대형원전과 소형원전 스마트 비교.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다만 정부도 미래 원전수출 시장에 대응하고, 원전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혁신형 SMR 개발을 위한 연구는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는 공감했다. 이에 한미 양국의 SMR 협력 가능성도 높다.

미국의 테크 전문지 와이어드(WIRED)가 2020년대 10대 혁신기술로 선정한 SMR은 전기출력 300MW 이하의 출력을 내는 소형 원전을 말한다. 기존 원자로 크기를 대폭 축소한 이 원자로는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라는 회사가 최초로 개발했다. 

환경계 인사들은 원자력을 나쁜 에너지로 평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각종 원전사고와 핵폐기물 저장소 갈등에서 드러난다. 그럼에도 유엔과 많은 전문가들은 핵분열 에너지가 기후 목표를 달성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대형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인 이 소형 원자로에 기대를 거는 이유다.

실제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시켰고 용량은 기존 대형원전 대비 10분의 1수준으로 새로운 설계 개념을 적용해 안전성과 활용성을 대폭 높인 것이 특징이다.

초기 건설비용이 적고, 기존 전력망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전력생산은 물론 수소생산, 지역난방 등 다양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형원전 도입을 주저하는 개발도상국의 선택 폭도 넓어진다. 원자력 업계는 2035년까지 전 세계 65∼85GW 규모의 SMR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는 이미 한국수력원자력이 한국형 소형원자로인 ‘스마트(SMART)’ 개발에 나서고 있다. 스마트 원전은 세계 최초로 2012년 표준설계 인가(SDA)를 받은 것은 물론, 최근에는 원자력연구원과 함께 개선된 설계사항에 대한 변경인가를 추진하고 있다. 중동지역에서 스마트 원전에 관심을 보이면서 이 지역에 스마트 원전 수출을 물색하고 있다.

아울러 한수원은 계통을 더 단순화하고 모듈화 개념을 강화한 ‘혁신형 SMR’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2030년 수출을 목표로 연 매출 3조원이 가능하다는 게 한수원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SMR은 탄소중립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수소는 어떻게 추출하느냐에 따라 ‘갈색수소’와 ‘그린수소’로 나뉘는데 흔히 천연가스에서 분리한 수소가 갈색수소다. 수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될 수밖에 없는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 그린수소는 물에서 수소를 추출하게 되는데 원전을 이용하면 탄소배출 없이도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SMR이 대안이라는 게 원자력업계의 설명이다.

미국 역시 조 바이든 대통령이 탄소중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SMR 투자에 나서면서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이 제기된다. 얼마 전 빌 게이츠는 원전기업 테라파워를 설립하고, 2030년까지 SMR ‘나트륨’을 미국 내에서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기도 했다.

원자력 업계 한 관계자는 “원전 강국인 미국과 연합하게 된다면 원전 수출에 있어 다른 나라들보다 경쟁력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국의 원전 협력에는 수출뿐만 아니라 SMR 등의 중소형 원전에 대한 협력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도 한미 정부 간 해외원전시장 공동진출 합의가 해외원전 수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적극적으로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바라카 1호기의 성공적 상업운전으로 보여준 높은 기술력과 더불어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을 갖춘 한국과 전통적인 원전 강국으로서 지정학적 영향력과 함께 이미 해외에 많은 원전을 수출한 경험을 지닌 미국이 함께 해외사업에 진출한다면 수주 경쟁력도 매우 높아질 것”이라며 “우리 원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해외원전시장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가시적인 수주 성과를 내기 위해 해외원전 수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