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올림픽이 7월 23일 열릴 예정이다. /도쿄올림픽 공식 페이스북

[한스경제=박종민 기자] 도쿄올림픽 개막(7월 23일)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취소론이 확산돼 왔지만, 개최가 임박해지니 강행될 분위기다.

2020 도쿄올림픽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등과 분위기가 확연히 달랐다. 올림픽을 앞두고 언론사에선 으레 D-100, D-50, D-30 등 단위로 ‘붐업’ 기획 기사를 준비한다. 그러나 도쿄올림픽을 다루는 기사들엔 붐업은 없고 ‘돈’과 ‘정치’ 얘기뿐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일본 정부는 ‘외통수’에 걸린 모양새다. 개최를 해도, 취소를 해도 실익은 거의 없다. 비판과 비용만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국격을 높이고 경제 호황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됐던 도쿄올림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라는 뜻하지 않은 암초를 만나 졸지에 ‘애물단지’가 돼 버렸다.

올림픽 개최 강행 이유에 주인공인 선수들은 없고 ‘돈’과 ‘정치’만 있다. 현지 노무라종합연구소는 올림픽 취소 시 일본은 국내총생산(GDP)의 0.33%인 약 1조8000억 엔(약 18조6000억 원)의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 전망했다. 무관중 개최 시엔 1468억 엔(약 1조5000억 원)의 손실을 예상했다.

IOC와 일본은 그동안 대회 취소를 놓고 눈치 싸움을 해왔다. IOC가 대회를 취소하면 막대한 중계권료를 날린다. 미국 NBC 방송이 IOC에 지급하는 도쿄올림픽 중계권료는 14억5000만 달러(약 1조6000억 원)에 달한다. 중계권료는 IOC 수익의 70%를 차지한다. 아울러 도쿄올림픽을 취소할 경우 자칫 6개월 후 열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갈 수 있다. 올림픽 취소 권한은 IOC에 있는데 일본이 먼저 취소를 요청할 경우 일본은 올림픽 개최 계약 위반으로 거액의 배상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정치적 계산도 대회를 강행하는 이유다. 스가 요시히데(73) 일본 총리는 10월까지 총선을 치러야 하는데 도쿄올림픽 성공 개최를 인정 받아 임기 연장을 노리고 있다.

반면 선수들은 안절부절하고 있다. 일부 선수들은 도쿄올림픽 개최 여부에 대한 기사를 매일 찾아본다고 한다. 보이콧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테니스의 라파엘 나달(35ㆍ스페인), 남자골프의 더스틴 존슨(37ㆍ미국), 미국프로농구(NBA)의 르브론 제임스(37ㆍ미국) 등 걸출한 스타들이 대회 불참을 결정했다. 야구의 경우 미국 메이저리그 40인 로스터에 든 정상급 선수들은 올림픽에 나설 수 없다. 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빠진 올림픽은 출전과 경쟁, 메달 획득까지 모두 의미가 퇴색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코로나19 확산 우려 등 안전 문제까지 있다.

지난해부터 도쿄올림픽과 관련해 지인들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도쿄올림픽 열리나요?”라는 물음이었다. 이는 도쿄올림픽 출장이 예정된 국내 취재진 사이에서도 화두였다. 사실상 대회 개최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는 지금은 새로운 질문이 필요하다.

“누구를 위한 도쿄올림픽인가요?”

박종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