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농도 상승시 근감소증 위험↑…선제적 예방 필요
강남세브란스 이용제 교수팀,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근감소증 상호 연관성 입증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나이가 듦에 따라 근육이 줄어드는 것은 자연의 섭리다. 근육량이 정상보다 감소해 발생하는 질병인 근감소증은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등 합병증을 유발해 신체 전반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왼쪽부터) 이용제, 조아라 교수/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

최근에는 영양 불균형 등 요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근감소증이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혈중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로 근감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근육 감소를 예방하고 근감소증을 예측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 교수·감염내과 조아라 교수팀은 혈중 ALP 수치 증가와 근감소증의 연관성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ALP는 간, , 신장, 장 등 전신의 조직에서 관찰되는 효소다. 일반적으로 ALP 수치의 상승은 간, 담도 및 뼈 질환과 관련이 있다.

 

근감소증은 팔, 다리를 구성하는 근육량과 근력이 정상보다 떨어지는 질병을 말한다. 과거에는 자연스러운 노화의 한 과정으로 여겼지만, 최근에는 근감소증을 공식적인 질병으로 등록하는 추세다.

 

지난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는 근감소증의 정식 질병 코드를 등재했으며, 우리나라도 지난 1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8차 개정을 통해 근감소증 질병코드를 부여했다.

 

혈중 ALP 수준의 성별 3분위에 따른 저골격근 질량지수(LSMI) 비율/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15579(남성 7171, 여성 8408)을 대상으로 성별 집단별 ALP 농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남성의 경우 혈중 ALP 수치 200IU/L 이하인 그룹을 ‘T1’, 201~248IU/L 그룹을 ‘T2’, 249IU/L 이상이면 ‘T3’으로 구분했다. 여성의 경우 혈중 ALP 170IU/L 이하는 ‘T1’, 171~224IU/L에 해당하면 ‘T2’, 225IU/L 이상 그룹은 ‘T3’으로 각각 분류했다.

 

혈중 ALP의 성별 3분위에 따른 저골격근 질량지수(Low Skeletal Muscle Mass Index, LSMI)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혈중 ALP 수치가 높을수록 근감소증 위험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그룹군(T1, T2, T3)LSMI는 각각 6.4%, 6.7% 10.5%T1 그룹에 비해 T3 그룹(p<0.001)이 근감소증 발병 위험률이 높았다. 여성 역시 ALP 3분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 그룹군(T1, T2, T3)LSMI는 각각 3.1%, 5.7%, 10.9%ALP 농도가 가장 높은 T3그룹(p<0.001)에서 근감소증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제 교수는 근육이 감소하면 근력 약화, 신체활동 저하 등 몸의 균형이 무너지고 삶의 질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번 연구로 ALP 농도가 높을수록 근감소증의 위험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져, 노인 인구의 근골격계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iomolecules(IF : 4.57)’혈중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수치 증가와 근감소증의 연관성: 전국 인구 기반 연구)’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실렸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