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한상의 SGI, '국내 수출 향후 과제' 보고서
내년 반도체 사이클·中 성장둔화 등 위협
수출품목 다변화 등 산업생태계 전환해야
대한상의, 20일 국내 수출의 특징과 향후 과제’ 발표. /사진=대한상의
대한상의, 20일 국내 수출의 특징과 향후 과제’ 발표. /사진=대한상의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내년 이후 국내 수출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수출이 경기회복 중심에 서기 위해서는 품목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0일 '국내 수출의 특징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올해에는 반도체·석유화학 등 수출이 국내 성장을  주도했지만 내년에는 반도체 사이클 전환, 중국의 성장 둔화 등 수출을 위협하는 불안 요인이 커져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도 수출이 경기회복 중심에 서기 위해서는 품목시장의 질적 고도화 통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SGI는 올해 국내 수출의 주요 특징으로 반도체·석유화학 등 주력 품목의 수출 증가를 꼽았다.
 
올해 반도체가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7.3%에서 올해 19.7%까지 높아졌다. SGI는 "국내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반도체 수출은 올 1∼3분기 경제성장률 4.0% 중 약 1.1%포인트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친환경 관련 수출도 크게 늘었다. SGI는 "기후변화로 국제 환경규제가 강화되며 자동차 수출량 중 친환경차 수출 비중은 2019년 11.3%에서 올해 18.9%까지 늘어났다"며 "이중 연료선, LNG선 등 친환경 선박 점유율은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신성장 산업도 수출 유망 사업으로 부상했다.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OLED 등 고부가가가치 산업은 연간 수출액 최고치를 경신하며 수출구조의 질적 고도화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내년 수출 경기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SGI는 국내 수출을 위협할 3대 리스크로 △반도체 사이클 전환 △미국 테이퍼링 후 금융시장 불안 △신흥국 성장 둔화 등을 꼽았다.
 
SGI는 "대규모 장치산업인 반도체산업은 수요와 공급 차이에 따라 2년 내외 주기로 가격 등락을 반복해왔다"며 "내년 반도체 경기가 꺾일 경우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 구조상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과거 IT버블 붕괴(2001년), 1, 2차 치킨게임(2008년, 2011년) 등 시기에 반도체 수출이 최대 40% 이상 급락한 경험이 있다"며 "내년 반도체 가격 충격이 현실화돼 반도체 수출이 10% 감소할 경우 경제성장률은 0.64%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후 신흥국 성장둔화도 우려했다. 보고서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시행했던 테이퍼링 영향으로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재정 취약국의 경기가 크게 위축됐다"며 "당시 신흥국 수입수요 축소로 우리나라의 對 신흥국 수출 비중은 2013년 54.7%에서 2015년 53.4%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신흥국 중 특히 중국의 성장 둔화를 우려했다. SGI는 "최근 IMF(국제통화기금)는 중국 경제성장률이 올해 8.0%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내년에 5.6%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중국 성장률이 6% 밑으로 내려간 건 코로나19를 겪은 지난해(2.3%)를 제외하면 1990년(3.8%) 이후 처음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25.3%로 매우 높은 상황으로 중국 수입수요가 줄어든다면 국내 수출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이다"고 예측했다. SGI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이 10% 줄어들 경우 국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0.56%포인트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SGI는 수출 리스크 대응방안으로 △수출품목 다양화 △친환경·고부가 신산업 육성 △수출시장 다변화 △공급망 관리를 제안했다.
 
먼저 수출품목의 다양성을 제시했다. SGI는 "우리나라는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 등 상위 10대 수출품목 의존도가 56.5%로 매우 높아 개별 산업 위험에 취약한 수출구조"라며 "바이오, 생명과학, 뷰티, 푸드 등 소비재의 국내 공급능력을 강화하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미래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부품기업, 정비체계, 인력 등 산업생태계를 친환경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SGI는 친환경·고부가 신산업 수출 육성을 언급했다. “에너지전환 정책을 신산업 육성 기회로 활용하여 친환경차, LNG선 등 고부가 품목에 주도권을 잡을 필요가 있다”며 “차량용 반도체, 소프트웨어, 경량소재 등 부가가치가 높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미래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부품기업, 정비체계, 인력 등 산업생태계를 친환경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수출시장 다변화도 제언했다. “기업들은 중국 수출을 대체할 만한 아세안·선진국 등 수출지역을 다변화해야 한다“며 “해외시장 판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수출상담회 확대, 온라인·편의점 등 새로운 유통채널 공략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공급망 관리를 강조했다. “코로나 위기 이후 특정 지역의 생산중단, 봉쇄, 수출금지 등에 취약한 글로벌 공급망의 문제점이 드러났다”며 “신규 수입국 확보를 통한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적 구축 지원과 저임금 목적으로 해외로 간 국내 기업에 스마트공장과 제조 로봇 지원 등 통해 생산시설 국내 이전을 유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부회장은 “우리나라는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에도 수출이 양적·질적으로 한단계 성장하며 경제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며 "내년에는 반도체 사이클 전환, 신흥국 성장 둔화 등 위험 요인에 잘 대응하고 미국이 구상 중인 '인도-태평양 경제 틀' 관련 정보를 선제 입수해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정화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