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발사대시스템, 현대重 독자 기술로 설계‧제작‧설치‧발사운용
공정기술 국산화율 100%로 끌어올려 우주 강국 도약 기반 마련
현대중공업이 누리호 발사를 위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구축한 한국형 발사대시스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현대중공업이 누리호 발사를 위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구축한 한국형 발사대시스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현대중공업이 우주로 보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를 보며 환호했다. 성공적인 발사 성공과 함께 자신들이 만든 '한국형 발사대' 성능도 입증됐기 때문이다.   

21일 전남 고흥에서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 분리된 성능검증 위성이 남극 세종기지와 교신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순수 자체기술로 실용급 위성 발사 능력을 갖춘 전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발사체도 자체기술이지만 발사 전 누리호가 고정됐던 발사대시스템 역시 국내 기술로 제작됐다. 발사대시스템은 현대중공업이 맡았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 발사대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누리호 발사를 위한 ‘한국형 발사대시스템’을 수주했다.

누리호 발사대 구축은 나로호 때보다 더 난이도가 높았다. 우선 길이부터 달라졌다. 나로호가 총길이 33.5m에 140톤 규모의 2단 발사체였던데 비해, 누리호는 총길이 47.2m에 200톤의 3단 발사체로 커지면서 기존 나로호 발사대(제1발사대)를 사용할 수 없어 누리호 발사대시스템(제2발사대)을 새롭게 구축했다. 누리호 발사를 위해 구축된 제2발사대는 지하 3층 구조로, 연면적 약 6000㎡에 이른다. 

현대중공업은 제2발사대 기반시설 공사(토목, 건축)를 비롯해, 발사대 지상기계설비(MGSE), 발사대 추진제공급설비(FGSE), 발사대 발사관제설비(EGSE)까지 발사대시스템 전반을 독자 기술로 설계, 제작, 설치하고, 발사운용까지 수행했다.

무엇보다 발사대시스템 공정기술 국산화율을 이번에 100%로 끌어올렸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지상기계설비는 엄빌리칼(Umbilical) 타워, 엄빌리칼 접속장치, 지상고정장치(VHD) 등으로 구성되며, 추진제공급설비는 추진제(연료, 액체산소)와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설비다. 발사관제설비는 이를 통합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2단 발사체인 나로호는 1단에만 액체연료가 쓰인데 비해, 누리호는 3단 발사체로 2, 3단에도 액체연료를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제1발사대에는 없던 46m 높이의 철골 구조물인 엄빌리칼 타워가 추가됐다.

지난해 1차 발사 시 발사체가 뿜어내는 고열과 진동 등으로 손상된 발사체 지상고정장치(VHD)의 변위, 각도 센서 등과 발사체와 직접 연결되어 모든 연료를 공급하는 엄빌리칼 메탈 호스 등을 교체하거나 수리‧정비해 2차 발사에 사용됐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에 기여해 기쁘고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기술력 향상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동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