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내 갯벌면적 2443㎢...국토 2.4%로 자동차 20만대 분량 탄소 저감
19일 갯벌복원사업 토론회…생태계 복원효과 높이려 지자체·시민단체·전문가 머리 맞대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갯벌 / 연합뉴스 제공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갯벌 /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탄소발자국 지우기에 바쁜 전 세계가 친환경 탄소흡수원인 갯벌에 주목하고 있다. 갯벌의 탄소흡수율은 198t/㎢으로, 생물서식·오염정화·탄소흡수·생태관광 기능을 제공해 경제적 가치가 약 71.8억원/㎢에 달한다. 특히 세계 5대 갯벌로 손꼽히는 국내 갯벌은 자동차 20만대 분량에 달하는 연간 48.4만t의 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갯벌은 1980~1990년대 새만금·시화호 등 대규모 간척 사업과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토지전용이 증가해 지난 1987년 3203㎢에서 2023년 2443㎢로 약 23.7%가 감소해 국내 탄소흡수량에 힘을 보태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갯벌의 면적이 줄어든 만큼 자연생태계 복원력이 뛰어난 박테리아와 갯지렁이, 말미잘 등 저서생물, 멸종위기의 바닷새의 서식지이자 철새들이 쉬어가는 쉼터도 줄며 생물다양성이 훼손받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0년부터 훼손된 갯벌을 본래 상태로 회복·증진시키기 위해 ‘갯벌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 폐염전, 노둣길 등으로 인해 훼손된 갯벌에 바닷물을 유입시켜 수질을 개선하고 서식 생물을 늘리고 있다.

노둣길은  섬-섬 또는 섬-육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돌을 놓아 설치한 다리로,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갯벌을 훼손하는 대표적 원인으로 지목받는다.

‘갯벌복원사업’은 28개소 중 올해까지 총 15개 사업이 완료됐고, 13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2022년부터는 비식생 갯벌에 갈대·칠면초 등 염생식물 군락을 조성하는 ‘경관개선형’ 시범사업을 설계해 제주 서귀포시, 전남 신안군, 충남 서산시, 충남 태안군, 전남 보성군 5개 지자체에서 공사를 준비 중이다. 식생갯벌은 비식생 갯벌 대비 탄소흡수력이 약 70% 향상된다.

그 일환으로 19일 개최된 ‘2023년 갯벌복원사업 심포지엄’에서 지난 13년간의 갯벌복원사업의 지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갯벌복원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자문위원들과 전문가, 지자체, 시민단체 등이 머리를 맞댔다.

이날 한국환경연구원(KEI) 이후승 연구위원은 갯벌복원사업이 공간계획 중심으로 추진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탄소중립, 온실가스, 갯벌식생 등 생태적 기능보다는 광의적 목표가 우선으로 수립됐다. 철새서식역을 고려한 종합적인 복원계획보다는 경관과 기수역(강과 바다의 경계지역) 복원 중심으로 인한 제한적인 복원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서식지로서의 지지기반에 대한 복원 우선으로 기능적 복원의 한계성이 노출된다”고 지적했다.

이후승 연구위원은 추진과제의 향후 방향으로 “조류, 대형저서동물, 저서구조류, 해조류, 염생식물, 어류 등의 다양한 갯벌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균형있는 복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세계 유산으로서 한국의 갯벌이 가진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의 지속성을 고려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민-관-학-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을 통한 복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블루카본사업단 윤서준 박사도 기존 복원사업의 경우 당초 목표가 추상적이거나 갯벌생태복원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실효성 있는 갯벌생태복원사업의 전 과정 관리·점검체계 구축을 촉구했다.

또한 윤서준 박사는 “갯벌복원의 법·제정비 방안 제시 및 교육·홍보를 통해 갯벌복원 정책 지지기반을 확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21년 해양수산부는 ‘제1차 갯벌 등의 관리 및 복원에 관한 기본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30㎢, 2050년까지 660㎢의 갯벌 조림을 조성해 연간 23만t에 이르는 탄소흡수력을 제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김우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