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3년 연속 성장률 둔화 후 2025년 소폭 개선 예상
지역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 /WB
지역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 /WB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세계은행(WB)이 현지시간 9일,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2.4%로 전망했다. 이는 선진국 1.2%, 개도국 3.9%로 지난해 6월 전망과 동일한 수준이다.

WB는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달리, 시장환율기준을 통한 자체분석기법을 활용해 경제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매년 1월과 6월 두 차례씩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은 별도로 발표되지 않는다.

WB는 세계경제 성장률이 전 세계적인 긴축적 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둔화를 보이다, 2025년에는 회복세가 2.7%로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물가안정에 따른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봤으나, 지정학적 긴장, 무역규제 강화, 중국 경기둔화 등의 하방요인이 아직 지배적이라 평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선진국은 미국의 경기둔화로 전체 성장률이 2023년 1.5%에서 2024년 1.2%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미국의 경우 그동안 소비에 따른 초과저축 축소, 높은 금리, 고용 둔화 등으로 소비와 투자가 약화되며 같은 기간 2.5%에서 1.6%로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로존은 긴축적 통화정책이 지속되며 0.4%에서 0.7%로 약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의 경기둔화에도 개도국 대부분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전체 성장률은 4.0%에서 3.9%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봤다. 특히 WB는 개도국의 경우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 속도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늦다고 평가했다.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국 외 지역 성장률은 개선될 전망이나, 중국 성장세 둔화로 지난해에 비해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5.1%에서 2024년 4.5%로 내다본 것이다.

중국의 경우는 불확실성 증대와 심리 악화로 인한 소비 감소, 자산부문 취약성 지속 등으로 성장률이 같은 기간 5.2%에서 4.5%로 하락이 예상된다고 봤다.

유럽과 중앙아시아 지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지역 전체 성장률은 2.7%에서 2.4%로 하락하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성장률은 2.7%에서 3.1%로 상승하는 것을 전망했다.

중남미는 물가안정화에 따른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 국제관광 회복세 등으로 성장률이 2.2%에서 2.3%로 상승한다고 봤다.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은 중동분쟁이 더 이상 격화되지 않는다면 석유 생산 증대로 1.9%에서 3.5%로 성장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남아시아 지역은 견고한 국내 수요와 인도의 높은 성장세(2024년 6.4% 전망) 등으로 전 세계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2023년엔 5.7%이었는데, 2024년 5.6%를 예상하고 있다. 사하라 이남 지역 역시 금융여건 개선 등으로 2.9%에서 3.8%로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봤다.

아울러 WB는 신흥국과 개도국 중심으로 잠재성장률 하락 우려가 있으며 투자촉진,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과감한 구조개혁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와 같은 내용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인도·튀르키예·말레이시아·폴란드·우루과이·콜롬비아·칠레·모로코·우간다 등 과거 투자촉진에 성공한 주요 10개국 사례를 별도로 연구해 분석했다. 1980년부터 2022년 사이 전년 대비 투자 증가율이 높았던 투자촉진기간을 분류하고, 해당 기간 전후로 투자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국가별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거시경제 안정화와 구조개혁 등을 통해 투자촉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1차는 1985년~1966년 사이이며 2차는 1999년~2007년 사이인데, 연평균 9.2% 투자 증가를 거뒀다.

1차 기간 동안엔 균형잡힌 재정정책을 통한 물가안정화, 공정거래법 제정 등 시장경쟁 확대, 수입규제 완화 등 거시경제 안정화 추진이 주요 정책적 효과로 꼽았다. 2차 기간엔 거시경제 안정화에 더해 자본시장 자유화, 기업지배구조 개선, 중앙은행 독립성 강화, 변동환율제 도입 등 개혁조치가 병행됐던 점을 강조했다.

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