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 넘버&

10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2015 한국의 사회 동향'에 따르면 무자녀 가정 비중은 1975년 1.7%에서 2010년 2.1%로 증가했다. 이 기간에 부인이 35∼39세인 무자녀 가정 비중은 1.1%에서 4.1%로 늘어 증가폭이 훨씬 컸다. 부인의 연령이 35∼64세이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를 무자녀 가정으로 정의한다. 여기에는 결혼을 늦추는 '만혼(晩婚)'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혼인 기간이 짧을수록 무자녀 가정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커진다. 실제로 30대 남성 미혼율은 1995년 12.4%에서 2010년 36.7%로 증가했고, 30대 여성의 미혼율도 1995년 4.7%에서 2010년 19.9%로 높아졌다. 
무자녀 가정의 부인은 유자녀 가정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사무·관리·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중이 컸다. 교육을 많이 받은 여성들이 직업 경력과 자아실현을 추구하면서 결혼이 늦어지고 있어서다. 1975년 인구주택 총조사에서 나타난 무자녀 가정의 부인은 평균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 미만이었지만 2010년에는 고졸 학력 수준으로 올라갔다. 무자녀 가정의 부인이 사무·관리·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는 1975년 0.9%에서 2010년 17.0%로 증가했다. 

 

한국스포츠경제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