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9주 연속 약세
서울 매매·전세 -0.08% 변동률로 하락폭 확대

[한스경제=김서연 기자]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마이너스 전환되는 지역이 속속 확대되고 있다. 지난주 서울 25개구 중 매매가격이 약세를 기록한 곳은 6곳에 불과했지만 이번주에는 11곳으로 늘어났다. 수도권 전반적으로 정부 규제 부담에 매물이 늘어나고 있지만 거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정부의 3기 신도시 후보지 발표 이후, 저가 매물을 기다렸던 수요층도 관망으로 돌아선 상황이다. 향후 보유세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다주택자의 처분 매물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매매가격 변동 자치구 수 변화. 그래픽=부동산114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8% 하락하며 9주 연속 약세를 이어갔다. 전주와 마찬가지로 송파, 강동, 강남 등에서 주요 대단지 아파트의 가격이 하향 조정됐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0.07% 하락했으며, 신도시는 0.02%, 경기·인천은 0.01% 떨어졌다.

전세는 서울이 0.08% 하락했고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각각 -0.12%, -0.09% 변동률을 기록하며 하락폭이 크게 확대됐다. 서울은 강동과 성북에서, 신도시는 위례와 일산에서, 경기·인천은 군포와 광명에서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 [매매] 송파구, 매물 쌓이며 가장 큰 폭 하락

서울은 ▼송파(-0.40%) ▼양천(-0.13%) ▼강동(-0.11%) ▼강남(-0.08%) ▼성북(-0.08%) ▼노원(-0.04%)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 주요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표=부동산114

송파를 중심으로 매물이 쌓이면서 거래 절벽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강남은 개포동 일대에 위치한 주요 재건축 아파트들의 매도자들이 버티기를 끝내고 본격적으로 매물을 내놓기 시작했다. 개포동 주공고층6, 7단지와 LG개포자이 등이 2750만~9000만원까지 떨어졌다.

상대적으로 저평가 지역이던 강북권도 하락 대열에 동참했다. 지난해 말부터 거래 절벽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매수인과 매도인의 팽팽한 줄다리기에 점차 균열이 발생하는 모양새다.

신도시는 ▼위례(-0.13%) ▼광교(-0.09%) ▼김포한강(-0.04%) ▼파주운정(-0.03%) 등이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15%) ▼파주(-0.12%) ▼안산(-0.04%) ▼고양(-0.03%) ▼수원(-0.02%) 순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많이 상승했던 광명의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양주(0.20%) △구리(0.03%) △광주(0.02%) 등 경기권 외곽지역은 상승했다. 양주는 GTX 추진 기대감으로 고암동에 위치한 주원마을주공2단지와 동안마을주공3단지가 500만원 올랐다.

◆ [전세] 서울 강동구·위례신도시 전세가격 큰 폭 하락

서울은 ▼강동(-0.39%) ▼성북(-0.22%) ▼송파(-0.19%) ▼금천(-0.18%) ▼동작(-0.16%) ▼서대문(-0.16%) 순으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전세 매물이 늘어났지만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강동은 암사동 프라이어팰리스가 2500만~4000만원, 둔촌동 신성둔촌미소지움1차가 500만~2000만원 떨어졌다.

서울 주요지역 주간 전세가격 변동률. 표=부동산114

신도시는 ▼위례(-0.27%) ▼일산(-0.19%) ▼평촌(-0.18%) ▼산본(-0.17%) ▼광교(-0.15%) 순으로 전세가격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경기·인천은 ▼군포(-0.30%) ▼광명(-0.28%) ▼의왕(-0.28%) ▼양주(-0.26%) ▼의정부(-0.24%) ▼고양(-0.18%) ▼구리(-0.17%) 순으로 떨어졌다.

이번 주 서울시가 올해부터 2022년까지 정부 정책에 맞춰 공적임대주택 24만가구 공급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기존에 발표한 도심 내 주택 8만호까지 총 32만호의 공급계획을 밝혔다. 게다가 향후 정부가 3기신도시 조성을 통해 서울 인근에서 20만호의 주택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인 만큼 서울과 수도권 일대의 공급 부족 우려감은 일단락된 상황이다. 정부 주도의 공급확대를 예고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는 크게 강화되면서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도 쉽게 거래에 나서지 못하고 관망하는 분위기다.

올해부터 보유세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택 보유자들의 매도 물량이 시장에 쌓여가고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거래 절벽 현상이 장기화되고 있어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이 계속 늘어날 경우 가격 하락폭이 커질 수 있으므로 당분간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며 “1월 혹한기에 주택 거래까지 꽁꽁 얼어붙으면서 해빙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서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