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양지원 기자] 배우 전도연이 영화 ‘생일’(3일 개봉)로 돌아왔다. ‘생일’은 지난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 남겨진 이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린 영화다. 세월호 참사를 다룬 작품으로 민감한 소재 탓에 전도연 역시 출연을 쉽게 결정하지 못했다. 고심 끝에 ‘생일’을 선택한 이유는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전도연은 “그냥 보내면 안 될 것 같은 작품이었다. 우리들의 이야기가 담겼기 때문에 용기를 낼 수 있었다”고 했다.

-이창동 감독의 연출부 출신인 이종언 감독의 입봉작이다. 섭외 과정은 어땠나.

“세월호 유가족의 이야기라고 들어서 부담스럽고 어려웠다. 시나리오를 읽고 엄청 울었다. 너무 험난한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변에서도 힘든 작품일 거라고 만류했다. 특히 ‘밀양’을 한 뒤부터는 아이를 잃은 엄마를 연기하고 싶지 않은 마음도 컸다. 그래서 그런 작품들이 들어왔을 때 늘 피했다. 하지만 ‘생일’은 놓지 못했다. 그냥 보내면 안 될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면, 우리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면 선택하지 못했을 것 같다.”

-감정적으로 힘든 연기는 ‘전도연이 해야 한다’는 평가가 있는데.

“전도연이 잘 할 수 있는 연기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 연기를 내가 자주 했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다고 해서 책임감이나 의무감은 없다.”

-세월호 유가족을 대상으로 한 시사회에서 직접 가족들을 만났는데.

“이 영화는 그 분들의 동의 없이 할 수 없었다. 극장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겁났다. 시사회와 무대 인사를 할 때 힘들었다. 그런데 어떤 어머니께서 직접 수를 놓으신 지갑을 내 손에 쥐어주면서 ‘감사하다’고 하셨다. 들어갈 때부터 나올 때까지 너무 눈물이 나서 고개를 못 들었다. 오히려 내가 위로 받은 느낌도 들었다.”

-영화 속 어떤 장면이 가장 와 닿았나.

“순남은 세상을 떠난 수호(윤찬영)의 빈자리가 너무 컸기 때문에 예솔(김보민)을 느끼지 못했다. 촬영을 하면서 예솔이 때문에 가슴이 아팠다. 순남은 지옥 같은 삶을 살면서도 살아가는 이유를 예솔이한테 찾으려고 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예솔이에게 ‘엄마가 너무 못나서 그래’라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참 가슴 아팠다.”

-세월호를 둘러싼 바라보는 사람들의 차가운 시각이 담긴 영화이기도 한데.

“세월호를 바라볼 때 오해, 편견, 피로감이 다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나 역시 그랬다. 사회적, 정치적인 시각으로 뭔가를 표현하기보다는 우리의 모습을 담아 좋았다. 보상금을 운운하는 큰아버지가 우리고, 슈퍼마켓 직원들도 마찬가지다. 순남은 그런 시선을 매일 겪고, 하루하루 부딪히며 살아간 사람이다. 그래서 담담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처절한 감정 연기를 할 때마다 힘이 많이 들었을 텐데.

“목도 쉬고 눈도 붓고 힘들었다. 순남이 아파트가 떠내려갈 정도로 우는 장면이 있지 않나. 우찬 엄마(김수진)가 아무 일 없는 듯 와서 묵묵하게 안아준다. 그 때 또 뭔가 터져 나왔다. 우찬 엄마의 따뜻함이 순남에게 새로운 에너지를 주는 그런 느낌이 있었다. 생각해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배우들이 서로 도와줬던 것 같다. 도움을 많이 받았다.”

-사실 상 추천하기 쉽지 않은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러 가는 사람들도 용기가 필요할 것 같다.

“감독님뿐 아니라 ‘생일’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할 거다. 이 위험은 극복해야 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안고 가야 하는 것 같다. 큰 슬픔과 아픔을 직면하기가 힘들지 않나. 사실 마냥 슬퍼하기 위해 만든 영화는 아니다. 내가 이 작품을 선택한 것처럼 관객들도 용기를 내주셨으면 한다. 내 친구 중 아이를 셋이나 키우는 친구가 있다. 사는 게 지옥 같다고 했는데 이 영화를 본 뒤 ‘도연아, 고맙다’라는 문자가 왔다. 큰 위로를 받았다고 하더라. 관객들 역시 그런 마음이었으면 한다. 내 딸에게도 슬프지만 마냥 슬프기만 한 영화는 아니라고 했다.”

-관객들이 어떤 평가를 했을 때 마음이 놓이겠나.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해 필요한 이야기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 사건을 들추고 음모론을 파헤치는 영화가 아니다. 만약에 ‘생일’이 그런 영화였다면 시기상조라고 생각했을 거다. 누군가가 애도를 위해 맹목적으로 만든 영화는 아니지만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작품이다. 비단 세월호 유가족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마찬가지다.”

- ‘생일’은 어떤 의미로 남을 작품인가.

“의미가 너무 크다. 세월호 사건 당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함을 느끼며 스스로를 비겁하다고 느꼈다. 죄스러운 마음이 늘 가슴 한편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 영화를 했다고 해서 ‘내 할 일을 다 했다’는 건 아니다. 등 돌리고 서 있었다면 이제 바로 선 느낌이다. 그런 마음의 작은 움직임이 내게는 용기였다. 배우로서도 사람으로서도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진=매니지먼트 숲 제공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