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강한빛 기자] 기업 인수합병(M&A)시장 초 대형매물인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 찾기 작업이 구름 속에 갇혔다. 매수 후보군이 보이는 듯, 보이지 않는 듯 모호하다.

한때 유력한 매수후보로 거론됐던 기업들이 인수 가능성을 부인하며 선을 긋고 있기 때문이다. 이르면 7월 매각 입찰 공고를 시작으로 올해 안 매각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던 아시아나항공은 다시금 난기류를 만난 상황이다.

지난 13일 금융위원회 이세훈 구조개선정책관은 기업구조조정제도 TF 킥오프 회의에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번에 주간사를 선정하고 매도자 실사를 준비 중에 있다”며 “빠르면 7월 중 입찰(공고)이 될 것으로 본다”라고 설명했다. 또 "이런 절차가 마무리되면 기본적인 매각 구조를 짠 후 입찰 공고를 낸다"며 "입찰 공고까지는 2~3개월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부연 설명했다.

정부당국은 가능한 연내에 아시아나항공의 새주인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항공산업의 안정화와 국가 지원자금의 원활한 회수, 고용 안정 등 다각도의 사안을 고려할 때 시간을 늦추는 게 그만큼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매각 절차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 나오고 있어 우려된다. 기본적으로 인수 후보 리스트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의 항공기 엔진 생산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얼마 전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관한 질문에 "검토도 하지 않았고, 검토할 생각도 없다"고 강조했다. 한화케미칼 역시 1분기 실적설명회에서 인수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사업 추진력과 그룹 계열사와 항공산업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특히 한화가 수 조원이 요구되는 롯데카드 인수전에 발을 빼고 적자사업인 시내 면세점에서 철수 하는 등 나름 그룹 유동성 관리에 나설때 일각에서는 항공산업 진입과 연계하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한화는  계열사 사장의 입을 통해 일단 뒤로 물러섰다.

롯데그룹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자금 동원력을 감안할 때 롯데그룹의 항공산업 진입 여지를 점치는 시각도 없지는 않지만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현지 공장 준공식’에서 “인수할 계획이 100% 없다”라고 밝혔다. CJ, 신세계 등도 인수 후보군으로 거론은 되나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 산업은행등 채권단은 채권 회수를 위해 탈출전략을 추진하고 있지만, 표면적으로는 막상 그를 받아줄 후보가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분기 실적 부진으로 경영 정상화에 적신호가 켜져 매각작업은 더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는 9조7000억원으로 부채 비율은 895%를 기록했다. 특히나 올해부터 리스(임대)를 부채로 인식하는 새 회계기준(IFRS-16)이 도입돼 부채 비율이 대폭 올랐다. 아시아나항공의 리스 비중이 60%에 달한다. 실적은 지난 1분기 매출액의 경우 1조7232억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89.1% 감소한 72억원을 기록했다. 순손실도 892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1년 내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 역시 1조2000억원 수준이기 때문에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한 추가자금 역시 만만치 않다.

다만, 채권단이 지난달 자금 계획을 발표하며 영구전환사채 4000억원이 발행되고 기존 발행됐던 전환사채 1000억원 중 800억원이 전환되면서 4800억원 수준의 자본이 확충됐다. 이에 아시아나항공은 향후 예정된 영구전환사채 1000억원의 추가 발행이 완료될 경우 상반기 기준 부채비율은 1분기 대비 400~500%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은 신기재 도입(A350 및 A321 NEO)을 통한 경쟁력 강화, 희망퇴직 및 무급휴직을 실시하며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비수익 노선인 사할린과 하바로프스크, 델리, 시카고 등 운휴와 신규 노선 운영 등도 추진하며 수익성 개선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 다음 달 27일엔 정관 일부 개정을 위해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임시 주총에서 ▲발행주식 총수 개정의 건 ▲전환사채 발행한도 개정의 건을 결의할 예정이다.

강한빛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