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18년 말 기준,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 25만개 돌파...외식업종 75%
커피·치킨업종 1억원 미만 매출 20%에 달해... 전체 브랜드 중 59% 직영점 안둬
점포정리한 가게 / 연합뉴스

[한스경제=변세영 기자] “은퇴자금 올인할 만큼 믿고 시작한 건데, 적자만 쌓이니 그저 한숨만 나옵니다”

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한 숨이다. 청년 실업률이 증가하고 사회의 중추를 담당하던 베이비붐 세대가 퇴장하면서 프랜차이즈 산업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 확산이 이어지고 있다.

한스경제는 자영업자 700만 시대, 우후죽순 늘어나는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본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 따르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 개수는 2014년 20만8104개, 2015년 21만8997개, 2016년 23만955개, 2017년 24만3454개에 이어 지난 2018년 말에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25만4040개다.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의 경우 외식 업종이 전체 업종 중 7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교육·세탁 등 서비스업(20%), 편의점 등 도소매업(5%) 순으로 많았다. 가맹점 수 역시 외식 업종이 48.2%(12만2574개)로 전체 업종 중 절반 수준을 차지했다.

가맹점 산업이 호황이다 보니 프랜차이즈 사업을 전개하는 신생 가맹본부도 많아지고 있다. 가맹본부의 숫자는 지난해 5175개, 브랜드 수는 6353개로 전년 대비 각각 6.0%, 5.0% 증가세를 보였다.

가맹점과 프랜차이즈 가맹본부가 우후죽순 증가하고 있지만, 내실의 탄탄함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체 브랜드 중 59%에 해당하는 3748개 브랜드가 직영점을 운영하지 않았다. 특히 2019년 사업 정보공개서를 신규 등록한 브랜드 중에서는 단 26%만이 직영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사업 모델에 대해 사업전개 방향성과 수입 모델의 성공 가능성 등을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맹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본사가 자본을 투자해 직영점을 중심으로 충분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해야 하지만 해당 부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프랜차이즈 박람회에 참석해 둘러보는 사람들 / 연합뉴스

프랜차이즈 전체 브랜드 중 과반 이상(63%)이 가맹점 10개 미만으로 영세했고,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는 전체 6.2% 그쳤다. 충분한 데이터를 토대로 제대로 된 수익성 검증이 어렵다는 의미기도 하다. 가맹사업 자격 요건이 강화되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등장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하는 자영업자 중에는 회사를 퇴임한 직장인이거나 청년들이 많다. 이들은 은퇴자금이나 은행권 대출금을 통해 사업에 첫 발을 내딛는 경우가 상당수다. 국내 가맹점 평균 창업비용은 1억3000만원 수준이다. 인테리어나 설비비용 등 기타비용 1억원에 가맹비와 보증금, 교육비 등 본사 이윤이 붙어 금액이 책정되는 형태다. 여기에 매달 로열티 명목으로 추가 비용을 별도로 지불하는 게 대부분이다.

가맹본부는 점주를 모집하기 위해 억대수입을 보장한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실상은 달랐다. 프랜차이즈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체 외식 브랜드의 12%는 연평균 1억원 미만을 벌고 있었다.

커피 업종은 브랜드의 25% 이상이 연평균 매출액으로 1억원 미만을 거뒀다. 치킨업종 역시 20% 수준이 평균 매출 1억원도 안됐다. 평균 매출액이 3억원 이상인 외식 브랜드는 총 771개로 전체 브랜드의 38.3% 수준에 머물렀다. 그렇다 보니 프랜차이즈 외식 업종 브랜드의 평균 수명 기간은 6년 5개월에 그쳤고, 지난해 문을 닫는 폐점율도 10.8%에 달했다.

프랜차이즈가 포화돼 있는 서울과 수도권의 상황은 더 나쁘다. 서울시가 발표한 2019년 프랜차이즈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에 사업자를 둔 전체 가맹본부 2곳 중 1곳은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본부다. 서울시 등록된 2467개 브랜드 중 직영점이 없는 곳이 총 1348개로 50%가 넘었다.

특히 지난해 신규 등록한 345개 브랜드는 74%에 달하는 257개가 본사 자본을 투입한 직영점을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생존율도 짧다. 2019년 말 기준 서울 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평균 생존율은 개업 1년 후에는 93.4%였으나 3년이 지나면 79.4%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3년이 지나면 10곳 중 2곳 이상은 문을 닫는 셈이다.

변세영 기자

최근엔 코로나 사태까지 겹쳐 가맹점 상황이 더욱더 어렵게 됐다. 지난 1월 국내에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전국 가맹점들은 약 30% 가량의 매출 하락을 경험한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3월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경기도가 전국 16개 시도에 분포해 있는 외식업 1214개, 도소매업 835개, 서비스업 1125개 가맹점(총 3464개)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영향 모바일 설문조사에서 전체 가맹점주 97.3%가 매출감소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로 분류되는 커피전문점도 매출하락을 피해하지는 못했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3월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할리스커피 등 커피숍 결제 추정금액은 15% 줄었다.

코로나 발 경기침체와 함께 자영업자들은 빚까지 늘어가는 설상가상인 상황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비중이 높은 도소매 숙박 및 음식점업의 1분기 대출 금액은 지난해 4분기 보다 12.2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최근 2년간 대출금 증감률을 살펴봐도 매분기마다 전 분기대비 대출 금액은 상승 곡선을 그리는 중이다. 대출을 통해 가맹점 사업을 시작하고도 대출금을 늘리면서 빚더미 사업을 이어가는 이들도 덩달아 많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프랜차이즈 자영업자들은 매장운영 어려움에 더해 본사의 ‘갑질’ 위험에도 노출돼있다. 가맹본사가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하거나, 본사와 가맹점 간 협약 미이행, 필수물품 구매 강제를 통한 폭리 등 불공정 행위가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최근 5년간 가맹점수 증가 현황 / 공정위 제공

지난해 공정위 산하기관 공정거래조정원에 접수된 가맹사업거래 분쟁조정은 637건이다. 지난 2006년 212건과 비교하면 3배나 급증한 수치다. 이들은 공정거래, 대리점거래, 가맹사업거래, 하도급거래, 대규모 유통업 거래, 약관 등에서 발생하는 불공정행위에 따른 분쟁 해결을 중재한다. 법률적 소송으로 번진 사건까지 포함하면 가맹사업 관련 분쟁은 이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지난 2015년 미스터피자 가맹점주들은 국회에서 체결한 상생협약 미이행과 광고비 집행, 식자재 공급가격 인하 등을 요구하며 200일 넘게 분쟁을 펼쳤다. 미스터피자를 전개하는 MP그룹의 정우현 회장은 지난 2005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가맹점에 공급하는 치즈 업체에 운영 회사를 끼워 넣어 통행세 명목의 이익을 챙긴 혐의가 나타나 프랜차이즈 갑질 논란이 수면위로 드러난 바 있다. 지난해 2심 재판부는 치즈 업체에 관련 운영사를 끼워 넣어 57억원을 빼돌린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고, 현재 대법원 판단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사업은 노하우가 중심인데, 직영점을 통한 시행착오 축적 없이 출점 이익만 노리는 업체들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라면서 “부실한 사업본부를 방지하기 위해 프랜차이즈 산업협회 쪽에서도 직영설치 의무화 등 대안책을 계속 논의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 만큼, 점주와 가맹본부를 연결하는 가맹중개제도와 같은 제도의 필요성도 언급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변세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