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미국의 반도체 패권 강화 내비쳐…중국과 강대강 대결 앞 韓 기업 선택 기로
반도체 회의에서 실리콘 웨이퍼 꺼내든 바이든 미 대통령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미국 백악관이 12일(현지시간) 반도체 칩 부족 사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반도체 화상 CEO 서밋(CEO Summit on Semiconductor)을 개최하면서 향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변화할 수 있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자동차·IT기업 기업 임원들과 가진 화상 서밋에서 “중국과 다른 나라들은 기다리지 않는다. 미국도 기다릴 이유가 없다”며 반도체와 배터리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미국이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체계를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선 만큼 글로벌 기업들에게 미국내 투자 확대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 내가 여기 있는 이유는 우리가 어떻게 미국내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고 미국의 공급망을 보장할 것인지 말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의 경쟁력은 기업들이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이날 화상 회의에는 19개 글로벌 기업이 참석했는데, 반도체 업체로는 삼성전자, 대만 TSMC가 IT 업계에선 HP, 인텔, 마이크론, 자동차 분야는 포드, GM 등이 참여했다.

특히 백악관이 소집한 반도체 공급망 대책 회의 이후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반도체 수급난에 빠진 미국 내 자동차 업계를 위해 이르면 올해 안에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에 나서겠다고 선언한 점도 주목된다.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전세계적으로 공급 부족 사태를 빚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제조에 직접 나서겠다”며 “향후 6~9개월 내에 실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차량용 반도체 설계업체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텔은 지난달 200억달러(약 22조6000억원)를 투자해 미국 애리조나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 2곳을 짓고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를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아시아에 쏠린 반도체 생산 라인을 미국으로 돌리고 자체적인 생산 용량을 늘리기 위함이다.

다만 이번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 발표는 신규 팹 시설이 아닌 인텔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 반도체 제조시설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인텔이 바이든 대통령의 요청에 화답하면서 다른 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 전쟁으로 촉발된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인텔이 선도적으로 실행에 옮길 경우 미국내 반도체 사업을 이끌고 있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에게도 차량용 반도체 생산·공급에 동참해야 한다는 상당한 압박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에 수 많은 고객사를 둔 삼성전자 역시 미국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조만간 투자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이미 약 19조원 가량을 투자해 미국 내 새 파운드리 공장 증설을 계획하고 있었던 만큼 이외에 추가 투자계획이 나올지가 최대 관심사다.

문제는 미국이 반도체 패권 강화를 선언한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미국에 추가 투자계획을 내놓게 되면 중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글로벌 반도체 굴기를 강조해오던 중국 입장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바이든 정부와 협력을 강화할수록 불편한 기색을 내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일부 보도에 의하면 바이든 미국 행정부 산하 자문위원회가 반도체 장비 대중 수출 봉쇄 대상을 확대하는 정책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날 회의에서 오간 내용이 구체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당장 중국에 생산공장을 둔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규제가 현실화하면 공장 신예화에 차질이 생기는 만큼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산시성 시안에 위치한 낸드플래시 공장 1곳에서 6세대 3D V낸드를 양산 중이며, 올해 2번째 공장도 가동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 역시 장쑤성 우시에 D램 공장 2곳을 갖추고 10㎚급 D램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중국 내 생산 공장이 있고 대중국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으로선 중국이 보복에 나설 경우 난처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기술을 상당부분 쥐고 있는 미국이 압박을 가해 온다면 사실상 국내 기업이 독자적으로 버티긴 힘들다”며 “그럼에도 중국과의 거래를 생각하면, 미국과의 관계를 티내기도 어려워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힘든 줄타기를 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