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포럼 주제강연 통해 '신뢰받는 ESG 평가 및 지표체계' 중요성 강조
ESG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과 미래 전략을 주제로 김연명 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임민환 기자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최근 다수의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업들의 ESG 활동을 평가하는데 있어 부족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요 공공기관의 데이터가 공유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ESG행복경제연구소와 한스경제는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ESG, 미래 과제와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제2회 ESG행복경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총 5개의 주제로 진행됐으며, 첫 주제 강연에 나선 김연명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ESG 투자기반 확충을 위한 제언’을 통해 ESG 평가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이제 기업들이 ESG경영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이미 명확해 졌다”며 “최근 1~2년 사이에 사회가 급변하면서 다양한 곳에서 기업들의 ESG평가를 내놓고 있는데, 평가 기준이 다르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ESG평가의 구성요소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신뢰성과 공신력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ESG평가 체계에 ‘불신’이 쌓일 수 있다”며 “ESG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데이터를 모으는 것보다(top-down) 이미 구축돼 있는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평가프레임을(bottom-up) 구성하는 것이 현실적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ESG평가를 내놓기 위해서는 각 부문별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취득할 수 없는 분야의 경우 이미 확보돼 있는 공공부문 데이터를 가지고 ESG평가 자료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1월 금융위원회가 ESG 관련 공시 의무화를 점진적 확대하기로 하면서 자산 2조원 이상인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는 2025년부터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 문제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해야 한다. 이런 공시 의무는 2030년부터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 적용된다.

또한 지배구조를 포함한 ‘기업지배구조보고서’는 2019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공시 의무가 부과된 데 이어 내년부터는 1조원 이상 상장사, 2026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가 이를 공시해야 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래리 핑크 CEO도 “ESG 투자의 신뢰할만한 자료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와 TCFD(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의 정보공개를 지지한 바 있다.

래리 핑크 회장은 올해 연례서한에서 “단일 글로벌 표준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지지한다”며 “규제당국이 단일 정보공개(공시) 프레임을 강제할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기업들이 빨리 이를 발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비재무적 성과 지표인 ESG가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작용하면서 ESG평가에 대한 공신력 확보는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 예측된다.

김 교수는 “ESG평가 지표를 누가 봐도 공감하고 납득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선 공공부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모든 기업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분을 예로 들어 공신력 있는 자료 확보를 위해 ‘녹색경영 금융지원시스템(enVinance)’을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현재 국민연금은 ‘환경정보공개제도’의 공개지표 중 6개 지표 활용하고 있으나 enViance는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정보공개제도에서는 오염물질 배출량(7개 정량지표), 환경경영 활동(11개 정성지표) 등 27개를 활용되고 있지만, enViance에는 오염물질 배출량(20개 정량지표), 통합지도점검 적발여부 등 33개 평가항목(정량데이터, 19개 DB)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정부DB를 활용함에 따라 정보의 수집효율성, 신뢰성, 관리체계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사회부분 역시 중요한 지표로, 자료 입수와 활용이 어려운 산업재해, 보건안전 등에 관한 신뢰할 만한 자료를 고용노동부 소관 공공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김 교수는 “한국의 ESG 평가체계 내실화와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공공부문이 축적하고 있는  ESG 관련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공정성이 확보된 ESG 평가 및 지표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하고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의 선도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