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업부, 2021년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디지털 전환 추진 중견기업 19.5%에 그쳐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한스경제=박지은 기자] 국내 중견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추진이 미흡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다수 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비용발생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힌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중견기업 416개사를 대상으로 ‘2021년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중견기업 93.1%는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 추진 중인 기업은 19.5%에 불과했고, 향후 추진을 계획 중인 기업은 35.6%로 나타났다. 

또 기업 스스로 평가하는 디지털 전환 대응수준을 5단계(0~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기초적인 1단계(49.8%)와 미추진 단계인 0단계(32.5%)가 대부분이며,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는 1.2%에 불과했다.

디지털 전환 추진분야는 조직 혁신(69.6%)이 가장 많고, 공정 혁신(66.7%), 제품 혁신(65.2%) 순이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업무 효율화(73.8%)가 가장 많고, 직원 생산성 및 협업 개선(42.8%), 신규 제품 및 서비스 개발(27.1%)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은 투자비용 문제(46.7%)가 가장 컸다. 이어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38.4%), 전문인력 부족(32.3%), 관련 인프라 부족(23.1%)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전담 조직이나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23.8%에 불과했고, 추진인력은 기업 평균 9.8명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예산규모는 기업 평균 12억3900만원이다. 이는 매출액 대비 0.8% 수준이며, 10억원 이상 예산을 책정하는 기업은 4.8%에 그쳤다.

최근 1년간 조직원이 디지털 전환 교육을 경험한 기업은 22.6%다. 디지털 전환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은 기술개발 역량(54.3%), 프로세스 혁신 역량(50.0%), 생산화 역량(40.4%)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정책·기술 수요에 대응해 필요한 부분도 제기됐다. 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 준비를 위해 대응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새로운 기술정보와 비즈니스 동향 파악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40.1%), 기업 자체적인 혁신활동 강화(36.8%), 동종 및 이업종 간 협력 확대(11.8%) 등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은 7.5%에 그쳤다. 수혜분야는 금융 지원(71.0%)이 가장 많고, 기술 지원(38.7%), 인력양성 지원(25.8%) 순이다.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은 디지털 전환 관련 정보 제공(41.1%), 예산지원 확대(40.6%),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30.8%), 전문인력 양성(27.6%) 순으로 나타났다.

안세진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산업부는 올해 중견기업 전용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을 신설해 다양한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을 본격 추진했다”며 “내년에는 올해 사업에 AI·SW 대학·대학원 및 DX 공급기업 등이 참여하는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해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을 더욱 심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원익 중견련 부회장은 “이번 조사결과와 현장 수요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산업부 등 유관기관과 중견기업 DX 연대·협력을 지속·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지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