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극지연, 지난 30년간 극지방 빙하 손실량 분석해 미래 해수면 변화 예측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2050년에는 지구 평균 해수면이 약 3.6cm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2050년에는 지구 평균 해수면이 약 3.6cm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2050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약 3.6cm 오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은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cm 상승이 예측돼 뉴욕과 시드니 등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극지연구소 이원상 박사 연구팀은 1992년 이후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변화를 예측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 30년간 빙하는 꾸준히 줄었고, 사라진 빙하는 대부분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을 높였다. 연구팀은 빙하 감소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미래의 빙하 손실량을 계산하고,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2050년 지구 해수면은 평균 약 3.6c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해수면 상승에 기여한 정도는 그린란드 빙하가 남극의 1.5배 수준이었다.

그 결과, 빙하가 줄면서 남극과 그린란드 주변은 만유인력의 감소로 해수면이 오히려 하강했다. 반면 먼바다에서는 반작용으로 평균보다 해수면 상승 폭이 컸다. 인천은 이러한 과잉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여러 기후 변수를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미래를 예측하던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접근이며, 국내 연구팀이 극지방 빙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적으로 정밀 예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극과 그린란드에는 지구의 해수면을 65m 높일 만큼의 빙하가 쌓여 있고, 최근 빙하의 손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달 극지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남극 스웨이츠 빙하에서 정밀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 유실에 따른 2050년 전 지구 해수면 변화. 남극과 그린란드 인근 바다에서는 해수면 하강이 예측되는 반면, 중·저위도 지역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두드러질 것이라 추정된다(붉은색). 초록선은 전 지구 평균값이다. 숫자와 함께 도시된 별(★)은 비교에 활용된 5개 해안 도시들의 위치로서, 3번은 인천이다. / 극지연구소 제공.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 유실에 따른 2050년 전 지구 해수면 변화. 남극과 그린란드 인근 바다에서는 해수면 하강이 예측되는 반면, 중·저위도 지역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두드러질 것이라 추정된다(붉은색). 초록선은 전 지구 평균값이다. 숫자와 함께 도시된 별(★)은 비교에 활용된 5개 해안 도시들의 위치로서, 3번은 인천이다. / 극지연구소 제공. 

김병훈 극지연구소 연수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극지방의 빙하 손실만을 고려해 예측한 '최소한의' 해수면 상승치로, 향후 1.5도 이내의 온도 상승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실제로는 더 심각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와 저위도 연안 국가들은 극지 빙하가 녹으면서 나타나는 해수면 상승 피해의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며 "해수면 상승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지구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고, 지난해 12월 국제 저명 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됐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