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한스경제 송남석] “값 비싼 스마트폰, 뚜렷한 성능 차이도 없어 자꾸 교체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눈에 띄는 혁신제품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늦춰지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유럽계 시장조사 기관 칸타월드패널(KW)은 2013년부터 작년까지 4년간 미국·중국(도심지역)·프랑스·독일·영국·이탈리아·스페인 등 7개국 소비자의 평균 스마트폰 교체 주기를 분석한 결과, 최근 4년 새 2~4개월 정도 늦춰졌다고 분석했다.

국가별로는 20.5개월(2013년)이었던 미국인의 평균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20.9개월(2014년) ▲21.6개월(2015년) ▲22.7개월(2016년)로 매년 꾸준히 계속 늘어났다. 4년 새 교체 주기가 2.2개월 지연됐다.

4년 전 17.1개월에 불과했던 독일인의 스마트폰 교체 주기는 ▲18.2개월(2014년) ▲18.8개월(2015년) ▲20.3개월(2016년)로 2.1개월, 2013년 교체 주기가 16.6개월이었던 스페인도 4년 뒤에는 20.5개월로 3.9개월씩 각각 늦춰지는 등 유럽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몇 년 새 기기의 혁신 속도가 크게 줄어든데다 기술 상향 평준화로 디스플레이와 램(RAM) 등 제품 품질이 대동소이해지면서 구형 폰으로도 별다른 불편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최신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성향이 강해 미국·유럽 등의 선진국에 비해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훨씬 빠른 편이다.

현재 새 스마트폰 수요를 이끌 혁신 기능으로 가장 주목 받는 기술은 '구글 어시스턴트' '삼성전자 빅스비' 등 인공지능(AI) 비서 등이 꼽히고 있다.

송남석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