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양지원 기자] 배우 공유의 의미 있는 행보다. 영화 ‘도가니’에서도 사회적인 목소리를 냈던 그가 이번에는 한국사회의 단면을 담은 ‘82년생 김지영’으로 돌아왔다. 극 중 지영의 남편 대현 역을 맡아 정유미를 받쳐주는 인물로 활약했다. 소위 말하는 ‘톱스타’가 주인공이 아닌 누군가를 뒷받침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건 드문 일이라 더욱 의미가 깊다. 공유는 “역할의 비중과 크게 연연하지 않는 것 같다”며 “어떤 메시지를 던져주는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으로서 성향이 반영된 것 같다”고 했다.

-영화의 시나리오와 원작소설은 어떻게 달랐나.

“시나리오를 먼저 봤는데 소설 역시 시나리오에서 내가 느낀 것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마냥 재미로만 읽을 수는 없는 책이었다. 연기를 할 때 가족으로 접근하자고 생각했다. 남녀의 기준을 나누고 보지 않았다. 가족과 사회 풍경에 대한 이야기가 복합적으로 담긴 작품이다.”

-시나리오를 읽고 위로를 받았다고 했는데 정확히 어떤 위로였나.

“인간적인 위로다. 지영(정유미)의 대사 중 ‘왜 상처를 주지 못해 애를 쓰냐’는 대사가 와 닿았다. 단순히 남자, 여자 이런 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 가족들 사이에서 내 역할을 돌아보게 됐다. 어떠한 관계로 인해 개인이 함몰되는 경우가 있다고 본다. 배우로서도 그렇고, 인간으로서도 그렇다. 그런 걸 아니까 공감을 느꼈다. 이런 상처들이 쌓이고 쌓이면 한 인간에게 큰 상처가 될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가족을 떠올린 영화라고 했는데 실제 가족과 사이는 어떤가.

“집에 계신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누나가 떠올랐다. 이 영화를 하면서 ‘난 어떻게 자랐을까?’라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게 됐다. 돌이켜보면 꽤나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아들이다. 모든 가정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영화 속 가정이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 짠하고 뭉클했다. 이 영화는 누구의 잘못을 지적하는 게 아니다. 평범한 가족의 모습이 담겼고, 그래서 가족 이야기라고 하는 거다.”

-영화 속 대현은 지영을 위해 육아휴직을 하겠다고 나선다. 실제로 대현과 같은 입장이라면.

“쉽지 않은 일인 건 분명한 것 같다. 직장생활을 해 본 적이 없어서 그쪽 생리를 잘 알지는 못한다. 영화를 찍으면서, 시나리오를 보면서 접하게 됐다. 남자 입장에서 육아 휴직을 내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은 한다. 그렇지만 이런 상황에 놓인다면, 시도 정도는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고난과 역경은 따르겠지만.”

-대현은 지영을 걱정하는 남편이지만 동시에 눈치 없는 면도 있는데.

“그게 내 기능적인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대현이 어떤 면에서는 착하고 자상할 수 있지만 눈치가 없다는 걸 나타내는 장면들이 있다. 그런 모습이 과하지 않게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게 중요했다. 대현의 모습 역시 그래야 현실적으로 비춰질 거라고 생각했다. 지영이 아프다는 이유로 남편이 갑자기 바뀐다면 그 또한 현실적이지 않을 거라고 봤다.”

-결혼에 대한 환상이 깨지는 작품이 됐을 것 같은데.

“결혼에 대한 환상이나 판타지는 없다. 워낙 좀 비관적인 성향이라 그런 것 같다. 원래는 결혼을 빨리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었다. 30대 중, 후반으로 가면서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는 생각으로 바뀐 것 같다. 주변 친구들은 거의 다 결혼했다. 결혼을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친구들도 있고, 좋게 이야기하는 친구들도 있다. 그들은 그들의 삶이 있는 거고 상대가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치가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동명소설에 대한 남녀의 입장이 대조적인 만큼 영화 제작 소식에 혹자의 비난이 이어지기도 했는데.

“물론 그들의 판단이 틀렸다고는 얘기하지 못하겠다. 여성에 관한 영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고 이해하려고 한다. 틀리고 맞는 걸 내가 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한창 젠더 이슈가 뜨거울 때라 캐스팅 소식에 화제가 됐는데.

“연기를 하는 사람으로서 그런 시선이 중요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내가 하고 싶은 영화를 하겠다는데 왜 용기가 필요한 일일까 싶다. 그렇게 나이 들면서 배우를 계속하고 싶다. 물론 이 영화를 처음 한다고 했을 때 일부 지인들은 ‘굳이?’ ‘지금?’이라는 말을 많이 했다. ‘도깨비’ 이후에 휴식기를 갖다가 선택한 작품이라 더 그랬던 것 같다. 주변에서 생각하고 걱정하는 것보다 난 굉장히 단순하게 이 영화를 택했다.”

-‘도깨비’로 인기 정점을 찍고 이 영화에 출연을 결심한 근본적인 이유는.

“내 필모그래피를 보면 관객으로서 느끼는 성향이 있다. 작품 자체가 무언가를 던져주는 걸 좋아하는 관객인 것 같다. 내가 선호하고 보고 싶어하는 성향들이 작품을 택할 때도 영향을 미친다.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뭔가를 말하고자 하는 게 투영되는 걸 좋아하는 것 같다. 역할의 크기와 상관없이 그런 걸 건드려주면 손이 간다.”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다고 생각하나.

“강박을 조금씩 놓고 있다. 예전에는 항상 다른 걸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을 느꼈다. 오히려 강박을 내려놓고 벗어나야 새로운 걸 보여드릴 수 있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을 한다. 스스로에게 솔직하고 싶다. 순리대로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살고 싶다.”

사진=매니지먼트 숲 제공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