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車産聯, 글로벌 수요절벽에 32.8조 유동성 필요... 취득세 감면 목소리도

 

자동차업계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한 자리에 모여 코로나19로 인한 자동차산업의 위기에 머리를 맞댔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강한빛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자동차 업계가 휘청이자 자동차업계와 소관 정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성윤모 장관이 한자리에 모여 현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책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업계에서 유동성 지원이 시급하다는 호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대책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자동차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을 비롯해 공영운 현대차 사장, 송호성 기아차 사장,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 사장, 예병태 쌍용차 사장 등 5개 완성차업체 대표, 1·2차 부품업체 대표가 참석했다.

성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과거 와이어링 하니스(자동차용 배선 뭉치) 수급 차질 사례에서 보듯 한두 개 부품기업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자동차 생산 전반이 타격을 받게 된다"며 "정부는 그동안 발표한 대책을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최대한 활용해 위기를 버텨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완성차 기업들이 새로 출시한 신차가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고 있고, 최근 쌍용자동차, 한국GM과 르노삼성이 임금협상을 마무리하는 등 노사관계도 안정적인 상황이므로 코로나 사태만 진정되면 한국 자동차산업이 신속하게 반등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로 글로벌 자동차업계는 찬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 폭스바겐, BMW 등 14개 글로벌 기업의 313개 공장 중 242개가 가동 중지된 상태로 GM, 포드, 폭스바겐, 토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은 긴급 유동성을 확보를 위한 비상경영 체제로 돌입한 상황이다.

국내 상황도 녹록치 않다. 19일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가 국내 완성차 5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4월 수출 전망을 보면 4월 자동차 수출은 12만658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쪼그라 들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9.1%, 기아차는 48.7% 각각 해외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은 72.9%, 한국지엠은 31.2%, 쌍용차는 51.1% 뒷걸음이 예상되며 수출절벽이 우려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는 위기 극복을 위해 자구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임원들은 선제적인 위기 극복을 위해 이달부터 급여를 20% 자진 반납하기로 했다.

또 쌍용차 노사는 지난 17일 코로나19로 경영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자동차 업계 최초로 2020년 임금 및 단체교섭을 끝내고 현재의 위기 상황 극복과 경영정상화를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르노삼성자동차 역시 지난 20일 2019년 임금 협약 협상을 마무리 짓는 조인식을 가졌다.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차 사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가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앞당기고 있는 상황인 만큼 노사가 한마음 돼 이 위기를 극복해 나가자"고 말했다.

/연합뉴스

하지만 업계는 정부의 유동성 지원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지난 9일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회의’를 개최해 자동차산업의 위기현황과 업계 애로상황을 점검하고, 수요절벽기와 이후 수요폭증기에 대비하기 위한 업계 건의를 청취했다.

자동차산업협회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중소기업, 개인사업자 및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 노력은 빠르고 효과적이었다”면서도 “해외소득을 발생시켜 국내소득과 국민총수요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수출기업에 대한 혜택은 상대적으로 없는 것은 문제”라며 지적했다. 더불어 “정부가 당초 보호하려고 했던 자영업, 중소기업 등 내수업종을 위해서라도 수출업종에 대한 보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자동차산업연합회는 글로벌 수요절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32조8000억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세금 납부 기한 연장·허용 요건 완화 ▲노동비용과 고용유지 지원 ▲부품 수급 원활화 지원 ▲글로벌 수요절벽 대응 내수촉진 등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에 신규 유동성 지원과 추가적인 내수 진작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매출이 크게 줄어들었는데도 임금 등 상시 지출이 필요한 고정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유동성을 지원하고 현행 개소세 감면에 더해 취득세 감면도 추가로 시행해달라고 요청했다. 더불어 자동차 개소세·부가가치세·관세 등 세금 납부 기한은 6∼9개월 연장하고 지난해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100g/㎞)을 올해도 유예 적용해줄 것을 건의했다.

성 장관은 "자동차산업의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하면 관계부처와 함께 지원대책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강한빛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