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향후 ESG포럼·우수기업 시상식 통해 사회적 인식 확산
언론사의 눈과 관점서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수준 평가
이치한 ESG행복경제연구소 부소장

[한스경제=변세영 기자] 바야흐로 ESG시대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한스경제와 협력해 언론사 역량을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ESG지수를 개발했다. ESG행복경제연구소 이치한 부소장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Q. ESG가 화두다. ESG는 기업에게 눈앞의 수익성과 바로 연결되기 어려울 수 있는 장기적 과제로 꼽힌다. 그럼에도 ESG가 왜 중요한가?

A. 글로벌 기후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이 촉발한 글로벌 변동성과 불안정성이 기업의 미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기업이 미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경제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 기업가치를 높이는 경영활동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이때 고려되는 비재무적 요소가 바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다.

기업이 이윤만 추구하던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시대는 갔다. 이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들은 책임투자원칙에 따라 기업의 미래 가치를 예측하고, ESG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기업이 ESG에 부응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는 것이다.

ESG는 ‘지속가능경영’이다. 불확실성의 시대에서는 단기적 성과에 급급한 대응만으로 계속기업(Going concern)을 보장받지 못한다. 결국 ESG는 기업에게 ‘생존’의 문제다.

 

Q. 한마디로 ESG행복경제연구소가 개발한 ESG지수란 무엇인가? 이는 기업에게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A. ESG경영이 화두로 떠올랐지만 사실 여기에 대한 글로벌 스탠다드는 없다. ESG지수를 발표하는 기관의 평가과정을 살펴보면 이들은 참고지표 및 기준을 세우고, 각각 기관별 특징에 맞게 ESG를 평가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비재무적 성격이 강하다. 경제적 가치는 금융기관이 전담해 평가하는 반면, 이들의 사회적 가치는 공익적 역할을 수행하는 언론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지수를 개발하게 됐다.

바야흐로 세계경제의 틀이 ESG로 바뀌고 있다. 수출 강국 대한민국은 ESG경영을 확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ESG지수를 개발해 국내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가이던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게 목표다.

 

Q. 공신력이 중요할 것 같다. 지수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과정을 소개해 달라.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이 무엇인가?

A. ESG행복경제연구소의 ESG지수는 언론사의 눈과 관점에서 기업의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수준을 각각 나눠 평가한 게 특징이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공신력 있는 19개 공공기관 및 증권사 심층 리포트를 활용해 자체 평가지수를 만들었다. 특히 기존 ESG 평가기관들이 활용하지 않았던 회사채 신용등급이나 소비자 만족도 등의 기준이 ESG경영과 상관관계가 높다고 판단해 차별적으로 지수에 활용했다.

환경문제가 위기로 떠오르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환경기후변화에 따른 글로벌 탄소저감 정책에 맞춰 우리나라도 알맞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스경제 ESG지수는 E/S/G 분야 중 특히 환경에 좀 더 비중을 둬서 점수를 매겼다는 점도 차별점이다. 

아울러 다년간 현장에서 일했던 전문기자들의 역량이 축적된 언론사 노하우 및 미디어 정보와 대중의 여론 분석 관점에서  ESG행복경제연구소만의 ESG지수가 독창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Q. 지수개발에 어려움 혹은 난관은 없었는가?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가?

A. 국내 기업의 ESG 인식이 과거보다 확대되고는 있지만, 아직 SK나 삼성, KB금융 등 대기업 위주로 돌아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ESG 수준은 전 세계 46개국가중 31위에 불과하다. 세계 10위권 경제규모와 비교할 때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ESG 자체가 미래를 위한 장기 전략이다보니 아직까지 이를 도입하지 않거나 혹은 이제야 막 ESG경영에 걸음마를 뗀 단계에 그치는 기업들이 많았다. 쉽게 말해 자료 ‘비대칭화’가 커 이를 객관화하고 분석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Q. 향후 ESG행복경제연구소의  ESG 관련 행보는?

A. 앞으로 더욱더 다양한 경제 주체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확대 적용해 ESG경영이 사회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아울러 ESG포럼이나 ESG 우수기업 시상식 등을 개최해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고, 업계 전반에 긍정적 기조를 전파하는 데 앞장서겠다.

변세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