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텐센트, 국내 주요 게임사 주식 확보…종속화 우려
판호 발급 불허, 중국수출길 막아놓고 불공정 거래
국내 엔터사업 내 중국자본, 역사 문화왜곡 등 논란
중국의 텐쎈트는 국내 주요 게임 사들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복, 김치 등 문화왜곡이 극에 달하면서 국내 문화 산업에 들어온 중국 자본을 경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국 자본이 투입된 드라마나 콘텐츠에서 중국의 역사왜곡 등 논란이 이어지면서 경계의 목소리는 점차 커지고 있다.

중국 자본은 엔터 사업뿐만 아니라 게임 산업에도 깊숙이 파고들어 있다. 국내 투자가 부족한 게임업계도 중국 자본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게임 업계도 중국의 자본에 종속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텐센트 공격적으로 국내 주요 게임사 지분 확보, 일부 중소게임사 경영권까지 넘겨

세계 게임시장을 장악한 중국의 IT기업 텐센트는 국내 주요 게임시장에 적극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이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등 주요 게임사에 지분을 확보하고 있고 최근에는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이 높은 중소형 개발사까지 흡수하고 있다.

대형 게임사와 중소형 게임사간 양극화가 심한 국내 업계 특성상 중소게임사는 중국 자본의 투자를 반길 수밖에 없다. 문제는 소스코드, 기술뿐만 아니라 경영권까지 내주는 조건으로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국내 투자가 적은 상황에서 중소게임사가 중국 자본에 의지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며 “중국 자본에 종속되는 우려에도 기업들이 텐센트의 투자를 반기는 현재로서는 중국 자본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중국 자본이 국내 게임시장에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상황에서 더 큰 문제는 ‘비대칭적 현상’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로 2017년 판호(서비스 허가) 발급을 중단하면서 국산 게임의 중국 진출을 가로막고 있다. 반면 중국 게임과 자본은 국내 게임시장에 활발히 유입되고 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중국 판호 문제 해결책을 찾겠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게임물관리위원회의 '중국국적 등급분류신청 게임물 결정건수'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게임은 193개가 한국 시장에 서비스됐다. 반면 중국 판호를 받은 한국 게임은 컴투스의 '서머너즈워 : 천공의아레나' 한 개에 불과했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텐센트의 투자는 금액 적인 부분을 넘어 흥행성을 인정받았다는 브랜딩 이미지가 붙는다”며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진출이 어려운 지금 텐센트와의 협업이 중국 진출의 유일한 활로이기 때문에 게임사들은 텐센트의 투자를 반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하루빨리 중국의 판호 문제를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지난 22일 ‘게임 산업계 현장 간담회’에서 판호 문제에 대해 "공적인 네트워크와 개인적인 네트워크까지 동원해 중국과의 판호 문제를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의 사업은 아마 합작 형태가 많이 통할 것이다"며 "우리가 기존보다 이익을 줄이더라도 중국과 협업을 해서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논란 일고 있는 중국 문화계 동북공정, 게임 산업도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 중국에서는 한복과 김치는 중국이 원조이며 한국 문화는 중국의 아류라고 주장하는 ‘신 동북공정’이 일어나고 있다. 또 국내 방송가에 중국 자본이 유입되면서 드라마 등 영상콘텐츠에 과도한 중국제품 PPL과 문화왜곡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SBS의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는 이 같은 문화왜곡 논란의 한가운데 서있다. 극중 충녕대군(훗날 세종)이 구마사제를 접대하는 장면에서 중국풍 세트 인테리어와 접대 음식이 중국 음식인 월병과 피단, 중국식 만두 등이 올라온 것이다.

특히 제작사인 ‘YG스튜디오플렉스’의 모회사가 텐센트의 투자를 받는 ‘YG엔터테인먼트’라는 점과 작가인 박계옥 씨가 최근 중국 대형 콘텐츠 제작사와 집필계약을 체결 것이 알려지며 드라마에 중국 자본이 영향을 끼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이에 제작사는 논란이 계속되자 "최근 이슈가 됐던 중국 협찬 및 제작 지원 사례와 달리 '조선구마사'는 100% 국내 자본으로 제작된 드라마다"고 해명했다.

최근 역사왜곡과 문화왜곡 중심에 있는 '조선구마사'. /사진=SBS

방송가에서는 중국 자본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자칫 타이완과 홍콩 같은 상황이 올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 자본에 의지하다보면 국내 제작 환경은 중국 회사의 하청기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8.90년대 영화계를 대표하는 홍콩영화는 중국반환 이후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또 90년대 ‘꽃보다 남자’, ‘판관 포청천’ 등 명작 드라마를 제작해낸 타이완도 중국 자본의 잠식으로 인해 콘텐츠 사업이 몰락했다.

현재 타이완의 제작사들은 중국 측이 요구하는 드라마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게 주된 일이되버렸다. 방영하는 방송도 타이완의 문화나 목소리를 낼 수 없게 되면서 문화 주권을 상실한 게 아니냐는 자조까지 나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게임 산업에서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 26일 온라인커뮤니티 클리앙 게시판에서 한 유저는 과거 게임시나리오 작가로 활동 당시 경험을 토대로 '게임에 중국투자자가 붙으면 시나리오단계 부터 하나둘 간섭하는 건 기본이었다'고 성토했다.

대표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제작사 ‘라이엇 게임즈(라이엇)’의 주식은 100% 텐센트가 보유하고 있다. 텐센트가 라이엇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뒤 LOL의 운영과 패치, 신규 챔피언은 물론 대회운영까지 친 중국적 행보를 보이면서 많은 유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특히 한국에 대한 현황에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보이며 국내 유저들의 불매 운동까지 일으켰다.

이밖에도 중국에서 제작된 게임의 문화왜곡은 이제 심심찮게 들리는 이야기가 됐다. 드라마에서와 같이 한국 문화를 중국 문화라고 주장하거나 한국은 중국의 속국 이였다는 역사왜곡까지 벌이고 있다.

중국 자본을 통해 제작된 게임에서 한국 배경에 중국풍 분위기를 입히고, 한복, 갓, 김치 등 한국 문화를 중국 문화의 아류로 소개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또한 게임 내 지도에서 한국의 영토를 중국의 영토로 표기하는 등의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

한 엔터 사업 관계자는 “이제는 콘텐츠 제작은 물론 국내 게임에서도 중국 자본이 없는 곳을 찾기 힘들다”며 “우리 문화 사업이 아무 경계 없이 중국 자본을 받아들인다면 제작 간섭은 물론 문화 왜곡 등 점점 우리 국내 문화 사업들은 무너뜨려 갈 것이다”고 경고했다.
 

김재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