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제발표 ‘ESG투자의 현재와 미래’ 통해 ESG 시장 성장 가속화 전망
‘ESG투자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윤원태 SK증권 연구위원이 강연을 하고 있다. /임민환 기자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의무화하고, 금융당국의 ESG 정보 공개 가이던스 계획을 앞당겨야 한다.”

26일 윤원태 SK증권 연구위원이 ESG행복경제연구소와 한스경제 주최로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 ‘제2회 ESG행복경제포럼’에서 ‘ESG투자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윤 연구위원은 “현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자율공시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업간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투자 판단 지표로 활용할 수 없다”면서 “ESG 정보공개에 대한 기업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정량적·정성적 투자 판단을 위한 표준화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며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의무화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연구위원은 “현재 일정으로 2030년 전체 상장법인에 대한 ESG 정보공개 의무화는 ESG 시장을 발전시키기에는 너무 먼 미래”라며 “ESG정보 공개 가이던스 활성화 계획을 앞당겨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금융당국의 ESG 정보 공개 가이던스 활성화 정책에 따르면 전체 상장법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의무화가 2030년 이후에나 계획돼 있어 지금의 ESG경영 추세로는 너무 늦다는 지적이다.

윤 연구위원은 ESG에 대한 정책적 가이드라인 도입 필요성도 언급했다. 지난해 12월 환경부의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발표가 환경관련 투자자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예로 “투자자들이 ESG투자에 대한 당위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투자 방법 및 투자 가이드라인이 없어 투자를 망설였지만, 환경부가 작년 12월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자 녹색채권 발행과 투자 모두 활성화되면서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국거래소와 SK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녹색채권은 1조원에서 올해 6조8000억, 사회적채권(MBS제외)은 4조3000억원에서 8조2000억원, 지속가능채권은 3조7000억원에서 4조8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에 윤 연구위원은 “ESG 중 정량화가 어려운 사회(S)와 지배구조(G)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산업통상자원부가 올 하반기에 K-ESG 평가지표를 개발해 발표하기로 함에 따라 이후 투자자의 불확실성 제거로 ESG 시장도 성장이 가속활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특히 윤 연구위원은 “돈은 ESG로 몰리고 있다”고 강조하며 글로벌 ESG 관련 투자자산은 2012년 13조2000억달러에서 매년 증가해 2020년에는 40조5000억달러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이에 “ESG관련 투자자금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지난해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ESG 경영 및 투자가 급증하면서 올해는 ESG 투자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ESG 투자 방법론도 소개했다. ESG 투자에는 크게 △네거티브 스크리닝 △포지티브스크리닝 △ESG통합 전략 △규범기반 스크리닝 △지속가능 테마투자 △임팩트 투자 △경영참여 및 주주행동으로 나뉜다.

네거티브 스크리닝은 ESG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산업기업을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하는 방법이고 반대로 포지티브 스크리닝은 업종별 ESG 평가결과가 우수한 섹터기업프로젝트를 선별하는 전략이다. ESG통합전략은 기업 재무분석과 더불어 ESG 요소를 체계적이고 명시적으로 포함해 분석평가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밖에 경영참여 및 주주행동은 책임투자기준에 맞는 기업경영 유도를 위해 주주 권한을 활용해 기업관여활동, 의결권행사, 주주제안 등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이다.

윤 연구위원은 “네거티브 스크리닝 전략은 유럽지역에서 ESG통합 전략은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지역에서 많이 활용되는 전략”이라며 “한국의 경우는 연기금 주도로 경영참여 및 주주행동 전략으로 ESG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일부 그룹과 기업들은 네거티브 스크리닝 방식으로 ESG 전략을 발표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업의 본질을 무시하고 ESG만 강조하면 비용부담이 증가해 장기적인 지속가능경영이 어려워진다. ESG를 잘하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지만 단기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ESG를 못하면 금융시장 접근이 어려워 질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윤 연구위원은 “시장은 더 명확한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며 “기업의 비재무적인 지표의 공지 의무화와 ESG 지표의 표준화 등으로 ESG의 가이드라인을 앞당겨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