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비대면 진료 환자 늘어…신규 이용자 확대 지켜봐야”
의료 공백 막을 수 있냐는 의문도
서울시내 대형병원. /연합뉴스 제공
서울시내 대형병원.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전공의들이 잇달아 사직서를 제출하며 의료계에 혼란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료공백 대응책으로 비대면 진료 확대 카드를 꺼냈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이용자 늘고 있지만, 신규 환자까지 확대될지 여부에 대해선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27일 “비대면 진료가 확대 이후 지난 23~26일 회원사 이용자 수를 조사한 결과,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비대면 진료 확대를 통해 초진도 가능해지면서 기존 이용자들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는 게 협의회 측 설명이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3일 의사들의 집단행동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에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공의의 집단사직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의료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비대면 진료가 원칙적으로 금지됐던 ‘초진’ 환자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해졌다. 

이슬 협의회 공동회장 겸 닥터나우 대외·준법 이사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부터 이용하던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시간이 갈수록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얼마나 확대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존 이용자가 아닌 신규 이용자까지 수요가 더 확대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부의 비대면 진료 확대 결정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의대증원 반대를 이유로 집단행동에 나선 의사들을 ‘압박’하려는 것 아니냐고 지적한다. 애초부터 의료계는 비대면 진료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대호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비대면 진료 확대에 대해 “현재 진료 차질이 빚어지는 곳은 중증, 응급환자를 중점 진료하는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수련병원”이라며 “그런데 중증, 응급질환에는 적용도 할 수 없는 비대면 진료 확대로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맞는 일인가”라고 일갈했다. 

비대면 진료의 한계에 대해 원격의료업계에서는 경증환자 분산은 물론, 환자의 진료 수단 선택 기회의 확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회장은 “정부도 비대면 진료가 위·중증 환자까지 케어할 수 없다는 것은 확실히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의료 공백으로 인해 환자들의 수요가 의원급까지 연쇄적으로 내려갈 텐데 경증환자와 의료시스템 모두에 병목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예방하는 의미로 본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