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주요 20개국 국민 대상 원전 인식 조사결과
20개국 평균 46%, 원전 지지...반대 28%
전문가, 전반적 원전 지지 약화..."안전성 입증 중요"
주요 20개국 국민들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요 20개국 국민들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전세계인들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주요 20개국 가운데 17개국은 원전에 대한 지지율이 반대율보다 1.5배가량 높았다.

11일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공개한 국제 에너지 컨설팅사래디언트 에너지 그룹의 '주요국 에너지 국민인식 현황'에 따르면 전세계 20개국 시민의 46%가 원전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대하는 시민은 28%에 그쳤다. 이번 설문조사는 20개 국가 내 2만112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17일부터 한달가량 진행됐다.

구체적으로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보다는 현 사용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20개국 내 응답자의 68%가 사용을 유지하자고 답한 반면 응답자 19%만이 원전 사용 반대 및 단계적 폐지를 주장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86%가 원전 정책에 지지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국민들의 원전 신뢰도(73%) 역시 높은 편이다. 중국은 원전 신설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로, 55기의 원전(2024년 1월 기준)을 가동하고 있다. 해당 원전의 총 순용량은 5만3181MW(메가와트)로, 용량이 다소 큰 편에 속한다.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은 23기로, 해당 원전들의 총 순용량은 2만3714MW에 달한다. 

한국은 82%가 원전 사용 유지 정책 방향을 지지하면서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우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CFE 이니셔티브'를 통해 원전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비롯해 원전, 수소,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 사용을 인정하는 이니셔티브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를 'CFE 이니셔티브 확산의 원년(元年)'으로 선언하고, 국내·외 외연 확대에 주력하기로 했다. 국내 산업계의 탄소중립 달성과 산업경쟁력 확보를 모두 달성하기 위해 이들의 실정에 맞는 무탄소에너지 활용 기반이 조성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이니셔티브가 해외 주요 국가 및 기관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관심을 쏟고 있다. 

그밖에 탈원전 정책을 오랜시간 추진하던 스웨덴(76%)과 벨기에(74%) 등의 국가의 응답자들은 높은 비율로 원전 사용 정책 유지를 원했다. 이들은 지난해 탈원전 정책을 폐지하거나 보류하기로 했다. 스웨덴은 43년 만에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신규 원전 10기 건설을 목표로 세웠다. 벨기에도 지난해 탈원전 정책 진행을 보류하고, 원전 2기에 대한 계속 운전 기한을 기존 2025년에서 2035년으로 연장을 합의했다. 

반면 브라질은 시민 53%만이 원전 사용 유지 정책을 찬성했다. 스페인의 경우 원전 사용 반대 및 단계적 폐지를 주장하는 시민들이 35%로 가장 많았다. 

원전은 청정에너지 선호도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태양광 발전(33%)을 가장 선호하는 청정에너지로 꼽았다. 원전은 25%로, 그 뒤를 이었다. 

다만 전문가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원전의 지속가능성과 안전에 대한 의문이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원전에 대한 지지는 약화되고 있다고 봤다. 국민적 우려 해소를 우해 안전성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프랑스 원자력안전청 관계자는 "원자로에서 예상치 못한 부식이 발견되는 등의 사건은 노후화된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떨어뜨렸다"며 "안전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감독 활동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규제 당국이 새로운 문제에 대해 대중을 신속하게 안심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적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의 '개방성과 시의적절한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계자는 "한국은 '투명성·공개 대화·원자력의 역할과 논쟁점 사이의 균형 잡힌 설명' 등을 강조하는 증거 기반의 협력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향상된 원자력 교육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국민들에게 의미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