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자율주행기술 혁신사업단 현판 제막식에서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왼쪽 여섯번째)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1'에 참가했던 국내 기업이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미국을, 가장 유망한 미래 산업으로 자율주행차 산업을 지목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CES 2021에 참가한 한국기업 147개사(응답률 54.4%)를 대상으로 주요국 대비 한국의 혁신환경 수준을 조사한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응답 기업은 헬스케어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등을 영위하고 있었다.

미국은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지목됐다. 응답 기업의 82.5%가 미국을 꼽았고, 이어 한국(8.8%), 독일·중국(2.5%), 일본·프랑스(1.3%) 등이 거론됐다.

한국의 혁신성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우수한 IT 환경(32.2%) ▲우수한 인력(29.4%) ▲빨리빨리 문화(17.7%) ▲기업의 과감한 R&D 투자(11.7%) 등이었다.

한국의 혁신지수를 100으로 가정하고 주요국 혁신성을 점수로 평가했을 땐 미국이 149.4로 우위를 나타냈다. 이어 독일(98.5), 중국(96.2), 영국(92.1), 일본(91.8), 캐나다(86.9), 프랑스(86.1) 순으로 혁신지수를 기록했고, 미국을 제외하면 한국보다 낮은 지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헬스케어 기업은 미국(69.0%), 한국·독일(13.8%), 일본(3.4%) 순으로 혁신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IoT는 미국(83.3%), 한국(16.7%), 인공지능도 미국(83.3%), 한국(16.7%) 순이었다.

업종별로 가장 혁신적 국가와 한국의 기술격차를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2~3년(3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헬스케어(44.8%), IoT(41.7%), AI(50.0%)가 2~3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스마트시티는 1~2년(50.0%), 드론은 3년 이상(100.0%)이었다.

CES에 참여한 한국 기업은 5~10년 후 가장 주목받는 미래산업 분야를 자율주행차(28.0%), 인공지능(25.7%), loT(11.6%), 헬스케어(7.7%) 순으로 꼽았다.

올해 CES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국내외 기업 전시장은 LG라는 답이 21.7%로 가장 많았다. LG는 이번 행사에서 화면이 말리는 형태의 스마트폰인 롤러블 폰을 선보였다. 삼성과 포드, GM, 테슬라, 구글 등도 함께 꼽혔다.

CES 참가 기업들은 한국에서 혁신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신산업분야의 과도한 규제와 불합리한 관행(28.3%) ▲법적·제도적 지원 부족(21.4%) ▲전문인력 부족(15.8%) 등을 지적했다.

혁신적인 기업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로는 ▲인력양성(19.4%) ▲글로벌 기술개발 협력 지원(18.2%) ▲경직된 규제시스템 개선(17.1%) 순이었다.

김호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