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해피해빗 2년 동안 참여 기관 및 기업 90곳...민관 프로젝트로 도약
SKT는 무인 반납기에서 컵 식별 기술 제공, 협업 추진해 캠페인 확대 동참
SK그룹 산하 행복커넥트는 세척 및 수거 담당,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효과
SKT 본사 전경 / 사진=SKT
SKT 본사 전경 / 사진=SKT

[한스경제=노이서 기자] SK텔레콤(SKT)이 참여하고 있는 다회용 컵 순환 캠페인이 90여개 기관과 기업이 함께하는 민관 협력 프로젝트로 도약했다. 이 캠페인을 통해 그 동안 절감한 일회용 컵 규모는 1천만 개로 일렬로 쌓을 경우 서울-도쿄 거리보다 긴 1400킬로미터에 달한다.

20일 SKT에 따르면 ICT 솔루션 기반의 다회용 컵 순환 캠페인 ‘해피해빗’이 시행 2년 만에 일회용 컵 1천만 개를 절감하는 성과를 통해 293톤의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거뒀다.

해피해빗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는 ‘해빗에코얼라이언스’는 지난 2020년 출범이래 취지에 공감하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들의 참여가 이어지며 현재 90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 프로젝트로 발전했다.

해피해빗 캠페인 참여 기관들은 다회용 컵의 생산 및 제공, 회수,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각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SKT는 ICT 무인 반납기에서 다회용 컵을 식별하는 비전(Vision AI)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ICT 기반 사회문제 해결에 관심있는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업을 추진해 해피해빗 캠페인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SK그룹이 설립한 사회적 기업 행복커넥트는 다회용 컵 세척 및 수거를 담당하고 있으며, 지자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경제적 취약계층 70여 명에 관련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해피해빗을 통해 사회적 가치도 창출하고 있다.

SKT는 관계자는 “해피해빗 캠페인이 불과 2년 여 만에 누적 1천만 개의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는 성과를 거두는 한편 참여기관 수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당초 목표인 다회용 컵 생태계 구축 시점이 더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KT가 다회용 컵 순환 캠페인 통해 일회용 컵 1천만 개를 절감하는 데 동참했다. /SKT
SKT가 다회용 컵 순환 캠페인 통해 일회용 컵 1천만 개를 절감하는 데 동참했다. /SKT

일회용 컵 1천만 개를 일렬로 쌓았을 때 서울에서 도쿄에 이르는 거리(1200칼로미터)보다 200킬로미터 더 긴 1400킬로미터이며 이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량은 293톤에 달한다. 소나무 12만4천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한다.

지역별로는 해피해빗 캠페인이 가장 먼저 시작된 제주에서 648만 개, 서울 228만 개, 세종 67만 개의 일회용 컵을 절감했으며, 최근 참여한 경기 및 강원지역에서도 다회용 컵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참여 기업은 캠페인 초기부터 적극 참여한 스타벅스를 비롯해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과 대신증권 본사 사옥, SKT 타워, 파리바게뜨, 일마지오, 파스쿠찌 등 많은 기업이 있다. 또한 인천시청 인근 카페들과 산하기관, 서울시청 구내카페, 제주대학교, 과천과학관 등 공공기관, 지자체도 일회용 컵을 줄이기 위해 동참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우체국공익재단, 한국남부발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환경공당 등 공공기관 및 공기업들은 해피해빗 참여 카페를 함게 모집하고 세종과 부산, 제주 지역에서 반납기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원을 지원하며 사업 확대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SKT 관계자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과 많은 기업 및 기관들의 참여로 다회용 컵 순환 생태계가 빠르게 자리 잡아 가고 있다”며 “SKT는 다회용 컵 확산을 위한 인프라 확충 및 관련 ICT 솔루션 고도화를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 환경부는 2027년까지 전국 13개 정부청사 내부의 커피점에서 다회용 컵 순환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하는 ‘정부청사 일회용 컵 제로 2027 비전’을 이달 초 발표했다.

정부의 이와 같은 방침에 따라 정부세종청사 22개 커피점들은 이달부터 다회용 컵 전용 매장으로 전환하며 일회용 컵을 줄이는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SKT에 따르면 앞으로도 정부, 지자체와의 협업을 지속 확대하는 한편, 사내카페, 대학 캠퍼스, 스포츠 경기장, 극장 등으로 적용 대상을 계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노이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