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허인혜] 차기 손해보험협회장 최종 후보 3인에 모두 관료 출신 인사가 오르면서 3년 만에 또 다시 관출신 수장이 나오게 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인선이 타 협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며 금융권에서 잠시 주춤했던 관치금융의 신호탄이 터질까 염려하고 있다.

차기 손해보험협회장 최종 후보 3인에 모두 관 출신 인사가 오르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좌부터)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장, 방영민 전 서울보증보험 사장, 유관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차기 손해보험협회장/사진=연합뉴스·한국스포츠경제DB

손해보험협회는 지난 23일 회장추천위원회를 열고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장, 방영민 전 서울보증보험 사장, 유관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 3명을 차기 회장 후보로 선정했다.

김 전 위원장은 행정고시 15회를 거쳐 정부에 입성한 뒤 재무부 국제금융국장, 관세청장, 건설교통부 차관과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등을 거쳤다. 문재인 대통령의 후보시절 대선 캠프 정책자문단에서 금융정책을 자문한 바 있다.

방 전 사장은 행정고시 17회 출신으로 재무부에서 경제정책심의관, 세제총괄심의관을 거치고 금융정보분석원장과 금융감독원 상근감사위원을 지냈다.

유 전 부원장보는 보험감독원에서 첫 업무를 시작한 뒤 금융감독원 상품계리실장과 보험감독국장, 기획조정국장 등을 역임했다.

회장추천위원회는 오는 26일 3차 회의에서 최종후보를 확정해 31일 총회에서 차기 협회장을 선출한다는 방침이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변동 가능성은 있지만 예상대로 31일에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협회장의 출신에 따라 향후 손보협회의 성격도 바뀌는 만큼 선출 후보에 대한 관심도 높다. 일각에서는 후보 3인이 모두 관료 출신인 만큼 이번 정권에서도 관치금융이 시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규제 정책의 여파로 관 출신 회장이 필요한 시기였다고 입을 모았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회원사가 이해관계에 따라 선정한 후보”라며 “보험산업이 규제산업이고 최근 실손보험료 가격인하 등에 대한 업계 의견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업계 차원에서 협회장이 정해지지도 않은 시점에 출신을 왈가왈부하기는 조심스럽다”면서도 “실손보험료 인하 등 정부와 업계가 대척점인 문제들이 많아 관 출신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드러나지 않았겠느냐”고 분석했다.

하지만 정권의 정책 방향에 따라 맹목적인 수장의 교체는 업권의 발전을 저해하고 관차금융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협회와 단체에 낙하산 멍석을 깔아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손보협회는 1974년 상근회장직을 도입해 꾸준히 관 출신의 낙하산 인사를 지속하다 ‘관피아’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장남식 회장(전 LIG손해보험)은 2014년 역대 세 번째 민간 출신 수장이 됐다. 당시 관 출신의 금융권 인선이 제한되면서 ‘민간 출신의 전성기’라는 평도 나왔다.

평가도 후했다. 장 회장이 취임한 이후 보험료 자율화, 보험사기특별법 제정 등 업계의 숙원 사업이 처리됐고, 우려했던 바와 달리 정치권과의 호흡도 좋았다는 평이다.

별다른 잡음이 없어 연임도 고려됐던 장 회장의 후임이 3년 만에 다시 관료 출신 인사로 대체되는 셈이다.

윤석헌 금융행정혁신위원회 위원장(서울대 경영대학 객원교수)는 “아직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관치금융 신호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앞으로 (관치금융 문제가) 있을까 염려스럽다”며 “민간 출신과 관 출신이 적절하게 공모를 해서 경쟁을 펼쳐야 공정한 인사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인사는 다른 협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내달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12월에는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의 임기가 마무리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손보협회장 인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었던 만큼 첫 타자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인사 절차를 감행한 것”이라며 “손보협회장이 관 출신으로 정해진 만큼 다른 협회의 공석에도 관가 출신의 인물이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허인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