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립수산과학원, 인공위성으로 관측된 표층 수온 분석 결과 발표
지난 20년 대비 2023년 연평균 표층수온의 편차분포. /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지난 20년 대비 2023년 연평균 표층수온의 편차분포. /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지난해의 연평균 수온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우리나라 바다 표층 수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았다.

1일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이 인공위성으로 관측된 우리나라 해역의 표층 수온을 분석한 결과, 2023년 연평균 표층 수온은 19.8℃(도)를 기록했다. 9월은 지난 20년보다 1.3도로 상승해, 가장 높은 수온을 기록했다. 6월과 11월 역시 지난 20년 대비 각각 1.0도, 0.9도 높았다. 

수과원은 지난해 이례적으로 높은 수온이 나타난 원인으로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에 따른 기온 상승 △대마난류 수송량 증가로 서태평양의 따뜻한 해수 유입의 영향 때문이라고 봤다. 특히 주된 영향을 받은 동해가 서해나 남해보다 표층 수온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선박을 이용한 한국근해 해양관측에서도 지난해 우리바다의 평균 수온이 기후평년(1991~2020)에 비해 0.8도 높았다. 

지난해 기록적인 높은 수온은 우리 해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지구 기후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이 근대 기상 관측 시작 이래 전 지구 평균 표층 수온이 가장 높았다. 특히 4월부터 12월까지 지속적으로 역대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해양의 급격한 물리적 환경 변화는 △식물플랑크톤 등 소형 해양생물의 생물량 감소 △해역의 생산성 악화 △수산생물의 서식지 환경 변화 △양식생물의 대량 폐사 등 해양생태계 및 수산자원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용석 수과원장은 "지난해 우리 바다는 기록적으로 높은 수온을 보여 최근 해양온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됐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피해 최소화 및 적응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해양 감시, 전망, 평가 기술의 고도화는 물론 해양온난화에 대응하는 미래 수산 기술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