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다(多) 탄소 배출 기업에 저탄소 전환에 필요한 자금 공급
맥킨지·보스턴컨설팅그룹, 전환금융 시장 확대 전망 
日 전환금융 전환에 정부·금융사 전사적으로 움직여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국가 정책 가운데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전환금융'이 금융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스경제 DB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국가 정책 가운데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전환금융'이 금융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스경제 DB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국가 정책 가운데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전환금융'이 금융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환금융이란,  제조업 등 탄소중립 달성이 어려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에 탄소저감 설비투자 등 저탄소 전환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기후금융 기법을 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환금융을 '신빙성 있는 이행 계획하에 파리협약과 일관된 넷제로 전환을 실행하기 위해 기업이 조달하거나 집행하는 금융'으로 정의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탄소중립화가 어려운 기업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환을 추진하고, 기업의 장기적인 전환전략에 기반한 대응을 지원하는 새로운 금융수단인 '전환금융'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탄소중립의 실현은 국가나 업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경로가 상정돼 있어 결코 단기간에 에는 이룰 수 없다. 연료 전환·에너지 절약 기술·고효율 발전 설비 등을 활용한 전환단계를 거쳐 장기적·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탄소금융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금융기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전망도 밝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McKinsey)'는 2024년 5대 기업투자금융(CIB) 비즈니스 트렌드 중 하나로 전환금융을 제시했다. 맥킨지는 7개 고탄소섹터(발전, 모빌리티, 건설, 농업, 공업, 임업, 수소산업)에서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55조달러 규모의 전환금융 기회를 전망했다. 

전환금융은 기존 기후금융의 △고탄소 산업의 저탄소 전환 동기 약화 △실물경제 악영향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상품 유형은 크게 전환채권(Transition bond)과 전환대출(Transition loan) 등 두 가지다. 

고탄소 산업 비중 높은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전환금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에 ‘전환금융 기본지침’을 발표하고 △녹색전환정책’(2023년 2월) △전환금융 사후관리 지침(2023년 6월) △전환채권 프레임워크(2023년 11월) 등의 기준을 정립하고 고도화하고 있다. 

특히, 녹색전환정책에서 정부는 탄소중립을 위해 향후 10년간 총 150조엔 규모의 전환금융이 필요하다고 전망하고, 그 중 20조엔을 전환국채(Sovereign Green Transition Bond) 발행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 내 전환금융은 지난 2021년 처음 시행된 이후 지난해 3월에는 누적 1조엔을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일본 3대 금융그룹(MUFG, SMFG, Mizuho)dms 우호적 정부 기조속에서 △심사역량 강화 △대기업 집중 공략 △정책자금 활용을 통해 전환금융 도입 초기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기반을 다지고 있다. 

Mizuho는 지난 2022년 12월, 국내외 기준을 준용해 전환전략의 신뢰성 및 투명성을 검증하는 프레임워크를 자체적으로 개발해 내재화에 집중하고 있다. 전환금융 수요기업 인근 지점에서 1차로 전환전략을 평가하며, 본부 리스크관리 부서에 섹터별 전문 검증인력을 배치하여 2차 심사를 수행하고 있다. 

MUFG는 지난 2020년 11월에 500여명으로 구성된 녹색전환전략프로젝트팀(Green Transformation Project Team)을 출범해 전환금융 관련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아울러, 고탄소업종 내에서도 중소기업보다 상환능력이 뛰어나고, 그린워싱 리스크가 낮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전환금융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또한, 3대 금융그룹은 2021년부터 누적해온 전환금융 경험을 바탕으로 2202년에는 지정금융회사로 선정됐으며, 이들은 금융지원제도를 활용해 2022년 7건, 2023년에는 10건의 전환금융 실적을 확보했다. 

국내는 일본처럼 전환금융 관련 제도·체계가 정립되진 않았으나, 정부는 지난 2022년부터 관련 노력을 지속하고 있어 향후 중장기적인 전환금융 시장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다. 

환경부는 2022년부터 기업이 탄소저감 설비 등 탄소중립 이행 관련 자금조달 시 220~300bp의 이차보전을 지원하는 ‘녹색정책금융활성화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 6월에는 한국은행과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녹색금융국제컨퍼런스’에서 국내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전환금융이 논의됐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국내 주요 고탄소 업종에서 2030년까지 약 1000조원의 전환금융 수요가 발생하고, 이 중 55% 이상이 은행대출 형태로 공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탄소중립 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금융권의 ‘장기간 대규모 자금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3가지 지원방향(△은행권·정부 공동펀드 조성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설비투자 확대 △성장사다리펀드를 통한 신재생에너지기업의 성장지원 △기업의조속한 저탄소생산설비 도입을위한 정책금융지원 확대)을 제시했다. 

신동림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융사는 전환금융이 '기업금융 강화'를 위한 새로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관련 비즈니스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정부 이차보전 사업 등 정책자금을 최대한 활용하고, 전환전략이 구체적인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업규모를 확장해야 한다"며 "그린워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환전략에 대한 심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관련 기준을 정립하고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심사팀을 구성·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