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서연] 한국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는 이른바 ‘낙하산’ 인사 논란이 쟁점이 됐다. 정권에 따라 금융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 논란은 계속돼 왔고 올해 국감 역시 의원들의 집중 질타를 받았다.

이동걸 산업은행장이 23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출석해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관련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3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본인은 스스로 낙하산(인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정권의 철학을 공유하는 것과 맹목적으로 충성하는 것은 180도 다르다”며 “낙하산의 정의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회장은 “정권과 철학은 공유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유의동 의원(바른정당) 질의에서도 “저는 전문성을 갖췄다고 생각한다. 낙하산이 아니다”며 “대한민국 대표 정책 금융기관 장으로서 맡은 바 소임을 충실히 누가 봐도 부끄럽지 않도록 하겠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날 오전 이학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자료를 내고 산업은행 낙하산 인사 논란을 꼬집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올해까지 퇴직 임직원 135명이 산업은행이 지분을 가지고 있거나 관리·감독 중인 회사에 재취업했다고 지적했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냈던 혁신안에서 퇴직 임직원의 재취업을 전면 금지하는 안을 냈으나 재취업 금지 대상은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기업이었다.

김도진 기업은행장이 23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은행, 기업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소기업은행 역시 낙하산 인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업은행 및 자회사에서 정부나 정치권 출신 낙하산 인사가 과도하게 많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 기업은행과 금융 계열사에 전직 정치인, 관료가 임원으로 다수 포진해 있었다는 분석이다. 일종의 ‘보은 인사’를 위해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인 기업은행을 택했다는 비판이다.

김 의원은 국감에 앞서 내놓은 자료에서 최근 5년간 기업은행 및 자회사에 임원으로 재직한 정치권과 금융관료, 행정부 출신 인사가 총 41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출신별로는 정치권이 가장 많았다. 새누리당(한나라당 포함) 7명 및 대선캠프 3명, 청와대 3명 등이다. 기획재정부(재경부 포함) 출신 인사가 8명이었고, 금융위원회 3명, 금융감독원 2명 등 금융관료 출신이 14명에 달했다.

그는 “그동안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에 전형적인 나눠 먹기 식 보은인사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며 “대부분 사외이사와 감사를 맡았는데, 준법 경영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자리를 낙하산 인사로 메운 것은 제도 취지에 반하고 국민 정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서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