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서연] 금융권에 대한 국정감사 전반전이 마무리된 가운데, 은행 점포 폐쇄, 가산금리, 채용 특혜 등 은행권을 향한 민감한 문제제기에 불똥이 튈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대형 시중은행들이 점포를 급격히 줄일 경우 금융 공공성에 위배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국내 은행 전반적으로 점포 폐쇄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객들이 받을 불편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바른정당 유의동 의원의 지적에 대한 답변이다.

유 의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7개 시중은행의 점포 173개가 폐쇄됐고, 올해 말까지 179개 더 폐쇄될 예정이다. 최근 5년간 폐쇄된 점포는 약 1,200개다.

유 의원은 “올해 폐쇄 점포가 최근 5년 중 가장 많다”며 “은행들이 비대면 거래 증가를 이유로 수익에 도움이 안 되는 일반 고객을 밀어내는 게 점포폐쇄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최 원장은 이같은 지적이 일리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점포폐쇄로 절감하는) 영업관리비용이 은행이 가장 관리하기 쉬운 부분인 것은 맞다”며 “(금감원이) 직접 들어가 폐쇄하지 말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은행은 공공성이 매우 큰 분야이기 때문에 (검사에) 들어가서 점검하고 협의해 공익적 차원에서 설득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은행권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현재 전체 입출금 거래 중 대면 거래의 비중은 10.6%로 집계됐다. 금융소비자 10명 중 1명만 지점을 방문하는 셈이다. 대면 거래가 해가 갈수록 줄어드니 비용과 효율성 측면에서 지점을 줄여왔기 때문이다. 주변 유동인구나 영업점 수익성 등이 점포폐점에 고려돼

금융권 관계자는 “금감원의 입장이 저렇다고 해서 예전부터 준비돼온 점포폐쇄 계획을 한 번에 바꿀 순 없겠지만 무작정 돈 안 되는 영업점을 없애는 것으로 비춰질까 우려스럽다”며 “(금감원이) 강제할 순 없겠지만 설득 또는 협의는 가능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최근 5년간 시중은행 지점폐쇄 현황 (단위: 개). 표=김서연기자 brainysy@sporbiz.co.kr

꾸준히 논란이 되어왔던 가산금리 산정 방식도 국감에서 다뤄졌다. 한국씨티은행과 전북·광주은행 등 일부 은행의 가산금리가 기준금리의 3배에 달했고, 때문에 과도한 가산금리로 서민들의 빚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리은행발(發) ‘채용비리 의혹’이 집중포화를 맞으면서 금감원은 이후 다른 은행들로 현장검사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국감에서 엄중히 다뤄진 만큼 다른 시중은행에도 이런 일이 있는지 여부와, 블라인드 채용방식 등 은행권 채용과정 전반이 재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B은행 관계자는 “올해 국감에서 민감한 사안들이 많이 터지면서 한 곳에서 나온 이슈에 시중은행 모두가 다 긴장하게 됐다”며 “인터넷전문은행 특혜 인가 의혹이 워낙 컸기 때문에 국감 전에는 이쪽으로 (의원 질의가) 쏠리지 않을까 했지만 이에 못지않게 굵직한 이슈가 많이 나왔다”고 평가했다.

C은행 관계자는 “30일 종합국감에서는 증인들이 대거 나오는만큼 질문이 많이 분산돼 채용비리, 인가 의혹같은 얘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김서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